인천시가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112억원을 투입해 해양쓰레기 4726톤을 수거했다. 사진=인천시

깨끗한 바다 환경 조성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는 인천광역시가 연중으로 해양쓰레기 수거에 나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인천시는 더 나아가서 드론을 이용해 해양 오염을 방지하는 등 스마트 기술을 도입해 해양생태계 보존에 지속적으로 나설 계획이어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인천시는 올해 1월부터 10월 말까지 112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총 4726톤의 해양쓰레기를 수거했다고 11일 밝혔다.

예산 집행 내용은 ▲해안·부유(하천·하구) 쓰레기 정화사업(78.2억 원) ▲해양쓰레기 정화사업(14.6억 원) ▲취약해안 폐기물대응사업(5.96억 원) ▲조업 중 인양쓰레기 수매사업(2억 원) ▲도서쓰레기 정화운반선 운영지원(10.8억 원) ▲시민참여 해양쓰레기 예방활동(0.2억 원) 등이다.

해안가 정화활동에는 지역 주민 등 934명의 인력이 참여해 지역별 수거활동을 전개했으며, 해양환경정화선 ‘인천씨클린호’를 통해 인천 연안의 부유쓰레기 약 34톤을 수거·처리했다.

특히, 도서지역의 해양쓰레기 적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옹진군 도서쓰레기 정화운반선을 올해 4월부터 운항, 10월 말까지 총 17회 운항을 통해 223톤의 해양쓰레기를 반출하며 도서지역 상시 반출체계를 구축했다.

인천시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해양쓰레기 문제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26년 해양쓰레기 정화사업 예산을 120억 원 규모로 확대 편성하고, 안정적인 수거·처리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드론을 활용한 쓰레기 관리


또한 해양환경 개선을 위한 스마트 시스템을 도입해 효율적인 해양쓰레기 관리에도 나서고 있다.

드론과 위성, 소나(음향탐지기)를 결합한 ‘스마트 드론 활용 해양환경 관리 시스템’은 해양쓰레기 분포를 정밀 관측하고 AI 기반 분석을 통해 최적의 수거 경로를 제시한다. 2024년 자월도·승봉도 2개 도서에서 시작된 관측 지역은 2025년 대이작도·소이작도 등 9개 도서로 확대돼, 옹진군 전역의 해양쓰레기 관리 효율화를 견인할 예정이다.

2026년부터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총 25억 원 규모의 ‘스마트 해양빌리지’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도서지역의 쓰레기·환경·안전 문제를 드론 등 디지털 기반 기술로 해결하는 복합 모델로, 스마트 해양도시의 실증 무대로서 인천의 드론 기술력을 한층 끌어올릴 전망이다.

인천시의 한 시민은 “인천은 40여 개의 유인도가 있어서 해양 오염의 가능성이 높은 지역인만큼, 해양쓰레기 수거에 힘이 많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면서 “드론 등 첨단 장비를 통해 쓰레기 수거의 효율성을 기하게 되면 인천의 터전이라고 할 수 있는 바다 생태계가 살아나고 안심할 수 있는 수산자원을 확보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