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가 정비사업 후보지로 선정한 30개 단지 관련 주민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진행했다. 사진=수원시

수원특례시가 지난 6일 수원시기업지원센터 대회의실에서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후보지로 선정된 30개 구역 주민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고, 사업 절차 등을 안내해 관련 조합 및 사업자를 비롯해 500여 명의 주민들이 참석해 많은 관심을 보였다고 8일 밝혔다.

수원시는 지난해 9월 25일부터 올해 4월 30일까지 주택재개발·재건축 후보지를 공모했고, ▲법적 구역 지정 요건 적정성 ▲제외 대상 여부 ▲동의율 등을 심사해 지난 10월 17일 30개 구역을 후보지로 선정했다. 재개발 후보지 20개소, 재건축 후보지 10개소다. 3개소는 ‘입안 제안형’ 구역으로 조건부 선정했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후보지 공모 추진 경위를 안내하고, ▲정비구역 지정 후 사업 추진 절차 ▲도시정비법 개정 사항 ▲일반 정비사업과 신탁사 특례 방식 차이점 ▲권리산정 기준일과 건축허가 ▲단계별 주민 동의 요건 ▲투기 방지 대책 ▲역세권 복합개발 활성화 사업 ▲소규모주택정비사업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은 주민의 자발적인 동의와 참여가 핵심”이라며 “선정 지역 주민들에게 지속해서 사업을 홍보하고, 절차를 설명해 사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주민들의 신뢰를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수원시는 5~10년 걸리던 신규 정비구역 지정기간을 2년으로 단축하기 위해 주민이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을 주도하는 ‘정비구역 주민 제안 방식’을 도입한 바 있다. 기존 10년 주기로 정비예정구역을 지정하던 방식에서 2년마다 시민 누구나 정비구역 지정을 제안할 수 있다.

수원시의 한 시민은 “서울을 비롯해 수도권 대부분 도시의 아파트 단지들이 20년 이상 오래된 상황이어서 재건축에 관심이 많고, 건물 자체의 내구연한은 아직 문제가 되지 않지만 지하주차장을 비롯해 생활여건 상의 낙후도가 심해 재건축이 시급한데 종합적인 계획 마스터플랜이 필요한 시점이다”면서 “수원시 역시 오래된 도시인만큼 재건축을 통한 도시의 활력을 찾으려면 개발에 따른 다양한 대안을 서둘러 준비해야 할 상황이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