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가 인천시에 거주하는 1인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 결과 인천시의 1인가구 수는 지난 5년간(2019~2024년) 평균 6.7% 늘어나 전국 평균 증가율인 5.5%보다 높게 나타났다. 여기에 1인가구인들이 가장 시급한 해결과제로 주거안정, 경제자립 등을 꼽아 이들 가구에 대한 중앙정부나 지방정부의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인천시는 3년 주기로 시행하는 1인가구 생애주기별 특성과 성별에 따른 다양한 문제 및 정책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올해 5월부터 8월까지 4개월 간 진행한 조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조사결과 인천시의 1인가구는 2024년 기준 전체 일반가구 중 32.5%로 타 광역지자체보다는 다소 낮지만 증가율에 있어서는 전국 평균 5.5% 대비 높은 6.7%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1인가구가 된 주요 이유로는 이혼·별거·사별 등 관계 단절 요인(50.1%)이 가장 많았으며, ‘일 또는 학업’(35.6%), ‘개인의 편의와 자유’(9.7%)가 뒤를 이었다. 특히 청년층은 학업 및 직장 등 자발적 이유, 중장년층 이상은 관계 단절에 따른 비자발적 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의 어려움으로는 아플 때나 위급 상황(29.9%), 식사 준비 등 일상적 가사활동(13.4%), 고독과 외로움(8.8%) 순으로 응답했으며, 희망하는 여가활동으로는 산책·나들이·여행(22.2%), 친구 만남 등 친목 활동(18.8%), 운동(13.7%)이 꼽혔다.
정책적 지원이 가장 필요한 분야로는 주거 안정(30.3%), 경제 자립(29.2%), 건강 관리(8.8%)가 선정돼, 경제 기반 확립과 주거비 부담 완화가 1인가구의 핵심 과제임이 드러났다.
사회학 관련 전문가는 “사회가 세분화되고 다핵 시스템으로 급속도로 변화하면서 1인가구는 자연스럽게 늘어나 1000만 1인가구 시대가 됐지만 사회 시스템이나 주택 공급 시스템 모두 이에 맞게 돌아가야 하는데 아직도 사회 전반은 다인 가족 중심으로 운영되다보니 1인가구가 소외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면서 “수도권 전체적으로 은둔하는 인구가 급격하게 늘어나 20~30%에 달하고 있는데, 이들 상당수는 1인가구인 경우가 많아 1인가구를 위한 중앙정부나 지방정부의 다양한 사회참여 프로그램 등이 절실한 시점이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