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그동안 단절됐던 소통창구를 재개하고 소통행정을 이어가기 위해 여야정협치위원회 활동을 부활시켰다. 사진 왼쪽부터 최종현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진경 경기도의회 의장, 김동연 경기도지사, 백현종 국민의힘 대표. 사진=경기도

사사건건 갈등을 겪어온 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소통 및 협치기구인 ‘여·야·정협치위원회’ 활동을 재개하기로 해 향후 상호 간의 거리를 좁히고 협치를 해나갈 수 있을 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경기도의회는 현재 여당과 야당 도의원 수가 비슷하고, 개혁신당이 캐스팅보트를 쥐고 있는 가운데, 김동연 지사의 정치적인 행보로 인해 같은 당인 더불어민주당 의원들과도 갈등을 겪으면서 도와 의화 간 소통이 단절된 채 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경기도는 13일 도와 의회가 도담소(옛 경기도지사 공관)에서 ‘2025년 여야정협치위원회 협약식’을 열고 도지사, 도의회의장, 여당대표, 야당대표 간에 공동협약서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김진경 경기도의회 의장, 최종현 더불어민주당 대표, 백현종 국민의힘 대표 등은 이날 2023년 여야정협치위원회 출범 이후 사실상 중단됐던 도와 도의회간 협치 채널을 다시 가동해 소통의 창구를 재개할 것을 약속한 것이다.

이 자리에서 김동연 지사는 “폭우로 인한 피해에 대해 도의회에서 여야가 한목소리로 함께 손잡아주시는 것을 보고 우리 도민과 경기도의 발전을 위해서는 당을 떠나서 함께할 수 있다는 좋은 본을 보였다고 생각한다”며 “오늘 여야정협치위원회를 다시 하게 돼서 정말 기쁘다. 이제 9월 본회의가 열리게 되면 내년도 예산안 심의, 행정감사 등 할 일이 산적해 있는데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는 기반을 만들게 돼서 대단히 기쁘다”고 말했다.

김진경 경기도의회 의장은 “경기도는 1420만 도민이 살아가는 대한민국 지방정부로 그만큼 책임감도 많이 느끼고 있다. 우리가 함께 여야정협치위원회를 잘 이끌어간다면 더 나은 삶과 더 나은 내일을 위한 경기도가 될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종현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앞으로 열심히 해서 도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결과물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밝혔으며, 백현종 경기도의회 국민의힘 대표는 “이번 기회에 여야정협치를 위한 조례도 제정해 보는 게 어떨까 생각한다. 또 분과위원회에서 각각 전문성을 가진 분들이 수시로 수석님들과 소통했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공동협약에 따라 여야정협치위원회는 기존 22인에서 경기도지사, 경기도의장, 경기도(경제부지사, 협치수석, 기획조정실장, 균형발전기획실장), 양당 각 4인(대표의원, 총괄수석부대표, 정책위원장, 수석대변인) 등 총 14인으로 압축했다.

실무협의기구인 여야정 실무회의는 매월 첫주 개최를 원칙으로 하고, 여야정협치위원회는 분기별 1회씩 연 4회 개최, 긴급 정책 현안 발생시 수시 개최할 수 있도록 합의했다.

협약식에 이어 고영인 경제부지사와 박용진 협치수석, 양당대표는 이날 오후 2시 여야정협치위원회 사무실 현판식을 가졌다. 여야정협치위원회 사무실은 경기도의회 12층에 마련됐다.

이번 도·도의회 간의 협치 소통기구 재개로 인해 향후 경기도의 소통행정에 대한 기대감이 나오고 있지만, 그동안 김동연 지사의 대권행보를 비롯한 정지행보 중심의 활동으로 인한 갈등의 골이 얼마나 좁혀질 지에 도민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