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가 한미 무역협상에 따른 상호관세 15%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관련 기관이 모여 '미국 통상정책 비상대응 TF'를 구성해 제3차 실무회의를 열었다. 사진=인천시

인천광역시가 지난 7월 말 한미 무역협상 결과에 따른 지역경제 영향을 점검하고 대책을 마련해 기업들의 애로사항 해소를 지원해주기 위해 비상대응 실무회의를 열어 해결방안이 나올 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인천광역시는 8월 13일 수출 유관기관들과 함께 ‘미국 통상정책 비상대응 TF’ 제3차 실무회의를 열고, 최근 한·미 무역합의에 따른 지역경제 영향을 점검하며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지난 8월 7일부터 한국산 제품에 대해 미국이 15%의 상호관세를 본격 부과함에 따라, 인천시가 지역 수출기업 보호를 위한 대응을 한층 강화하는 차원에서 마련됐다.

이번 회의에는 인천시를 비롯해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 ▲인천지방중소벤처기업청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인천지역본부 ▲인천상공회의소 ▲인천테크노파크 ▲한국무역협회 인천지역본부 ▲KOTRA 인천지원본부 ▲한국무역보험공사 인천지사 등 9개 기관이 참여했다.

회의에서는 무역합의로 확정된 상호관세율과 품목관세율이 인천 주력산업에 미칠 영향을 논의하고, 기관별 대응방안과 기업들의 애로사항, 건의사항 등을 공유했다.

인천시는 현재 미국의 관세폭탄으로 인한 기업들의 피해를 최대한 줄여주기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시행하고 있다. 인천시는 관세 부담으로 인한 수출기업의 자금난 해소를 위해 지난 7월 14일부터 1500억 원 규모의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지원 중이며, 7월 31일 한·미 간 관세협상이 타결됨에 따라 500억 원을 추가 투입, 총 2000억 원으로 확대했다.

또한 수출 판로 다변화도 적극 추진 중이다. 올해 들어 6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총 32회의 수출상담회 및 해외 전시회 참가를 지원했으며, 7월 말 기준 총 3102건의 상담과 1억 3010만 달러 규모의 계약상담 성과를 기록했다. 인천시는 앞으로도 중동·동남아 등 신흥시장 개척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