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28일 '경기기후플랫폼' 서비스 개시 행사를 개최했다. 사진=경기도
경기도가 기후와 관련한 시민들의 궁금증을 해결해줄 수 있는 환경정보 통합 관리·분석시스템인 ‘경기기후플랫폼’(climate.gg.go.kr)이 28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해 기후 관련 경제적 편의를 확보하게 됐다.
‘경기기후플랫폼’은 국내 최초로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만든 고정밀 기후·환경·에너지 종합 플랫폼으로 항공 LiDAR(라이다), 위성 영상,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다양한 환경 정보를 통합하고, 분석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는 28일 도청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기후플랫폼 개시 행사’를 열고, 경기연구원, 경기도 기후위기대응위원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환경연구원, 기후솔루션 등 기후·환경 전문가와 함께 플랫폼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주요 서비스로는 ▲지역별 탄소 배출·흡수량 ▲광역 도시생태현황지도 ▲건축물 단위별 에너지 사용량 등 공간정보 ▲재생에너지 발전량 분석 ▲중소기업 기후경영서비스 ▲기후재난 현황 및 위험지역 예측 등이다.
공공기관은 경기기후플랫폼의 정책 지원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정책수립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항공 LiDAR(라이다), 위성 영상 등 공간정보를 종합해 산사태 취약 지구를 지정하고 재난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탄소흡·배출 관리, 공간 기반의 태양광·탄소 정보 등을 통해 과학적 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의사결정과 탄소중립 목표 이행 추적 관리도 할 수 있다.
기업 역시 국제표준 기반의 탄소회계와 에너지경영서비스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간단한 사업장 정보 등록만으로 데이터가 자동 입력돼 해당 기업의 탄소배출량과 에너지진단보고서를 즉각 제공한다. 특히 전력사용 패턴 분석으로 가장 저렴하게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요금제 추천도 해줘 전기요금 절감이 가능하다.
이밖에도 경기기후플랫폼에서는 탄소공간지도를 제공한다. 각 지역별로 단위면적당 연간 탄소배출량을 볼 수 있는데 대중교통 이용, 에너지 절약 등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기후행동을 독려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도 있다. 건물지붕과 유휴부지 등의 태양광 도입 시뮬레이션을 통해 재생에너지 도입에 따른 경제적 효과도 실질적으로 느낄 수 있다.
경기기후플랫폼은 생성형 인공지능 등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모델 개발 협업 공간(LAB)이 있어 OpenAPI, AI 모델을 통해 데이터 정리 및 2차 작업도 가능하다. 플랫폼 영문 번역도 준비하고 있다. 온라인 주소(climate.gg.go.kr)로 접속하면 누구나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다.
경기기후플랫폼과 함께 도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올 11월 1호 발사를 앞둔 ‘기후위성’과 함께 전 도민 ‘기후보험’, 도민 이익공유형 ‘기후펀드’ 등 ‘기후경기 3대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경기도의 한 주민은 “경기도가 그동안 추진해온 기후경제의 결과물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면서 “기후변화가 극심해 폭우, 폭염, 폭설 등등 기상 이변 속에 살면서 겪는 다양한 불안정을 이번 오픈한 ‘경기기후플랫폼’을 통해 상당부분 해결하고 대책을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