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28일 수원 본사에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협력관계 협약을 맺고 건설 디지털 전환 활성화를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사진 왼쪽이 이종선 GH 사장 대행, 오른쪽이 박선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 사진=GH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건설기술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기술개발과 선순환 구주를 구축하기 위해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과 협력관계를 맺어 업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GH는 28일 수원 본사에서 KICT와 건설 디지털 전환(DX) 활성화 기회 파트너십’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 기관은 협약을 통해 GH 사업지구 내에서 건설정보모델링(BIM)과 확장현실(XR)을 결합한 스마트 건설기술의 테스트베드(시험공간)를 제공하고, 건설현장의 디지털화 및 자동화 기반을 구축할 예정이다. 아울러,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이 보유한 스마트 기술의 실증 및 현장 적용을 지원함으로써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도 이바지할 계획이다.
이날 협약식은 BIM과 XR 기술을 활용한 가상공간에서도 진행됐다. 이종선 GH 사장 직무대행과 박선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이 확장현실로 구현된 하남 교산지구 신설교량의 가상현장에서 악수를 나누고 협약을 체결하는 장면을 연출해, 향후 선보일 기술 기반 협업의 미래를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GH는 현재 3기 신도시 하남 교산지구를 중심으로 스마트 건설기술의 테스트베드 및 실증 사업을 적극 추진 중이며, 앞으로도 국내 건설산업의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다양한 협력 모델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종선 사장 직무대행은 “이번 파트너십은 GH가 디지털 전환 시대에 발맞춰 건설현장에 첨단 기술을 본격 도입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GH는 스마트 건설기술 생태계를 이끄는‘퍼스트 무버(1st mover)’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AI 시대를 맞이해 건설업이 건설정보모델링(BIM)과 확장현실(XR)을 결합한 스마트 건설기술이 다양한 형태로 쓰이기 때문에, 앞으로 GH가 추진하고 있는 가상공간의 확장현실이 상용화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입체적인 공간을 연출하는 건설업의 패턴이 급속도로 변화하는 중요한 시점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