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왜곡 사례 제재 관련 기사 캡쳐(참고용)

여론조사공정(주)와 데일리안의 정례조사 가운데 최근 5번의 조사 결과(64차~68차)를 분석했습니다.

특정 정당 지지층 체계적 배제 가능성... 선관위 감독 체계 문제 제기돼

여론조사 신뢰성에 치명적인 '무응답 편향'이 여론조사공정(주)와 데일리안 정례조사에서 심각한 수준으로 발견됐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 지지층이 조사 참여를 거부하거나 중단했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판단됩니다. 특히 이재명 대표 관련 질문이 포함된 최근 조사에서는 응답률이 1.4%에 그쳤습니다. 선관위가 이런 여론조사 결과를 공표하도록 내버려 둔 것이 이상하게 느껴질 정도입니다.

권장 기준의 1/5 수준인 충격적 1.4% 응답률

여론조사공정(주)와 데일리안의 최근 5차례 정례조사(64차~68차)를 분석한 결과, 모든 조사가 권장 응답률인 7%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특히 이재명 민주당 대표에 대한 '악마화 프레임'이 두드러진 68차 조사의 경우 응답률이 1.4%에 불과했습니다.

● 64차: 4.1%

● 65차: 5.0%

● 66차: 4.7%

● 67차: 4.6%

● 68차: 1.4%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에 등록된 보고서를 보면 여론조사공정(주)와 데일리안의 조사 방법은 모두 ‘RDD + ARS 방식’ 입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RDD+ARS’ 방식은 이미 한국조사협회가 2023년 10월부터 공식 폐지한 저신뢰도 조사방법으로, 3% 미만 응답률에서는 통계적 가중치 보정만으로는 편향을 해소하기 어렵습니다.

여성 및 야당 지지층 참여 배제 가능성 높아

68차 조사에서는 남성 응답자(60.4%)가 여성 응답자(39.6%)보다 훨씬 많았으며, 이는 모집단 비율과 8.3%p 차이가 나는 심각한 불균형입니다.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민주당 지지 성향이 강한 경향이 있어, 이러한 성별 불균형은 민주당 지지층의 체계적인 응답 거부를 강하게 시사합니다.

구분 조사완료 비율(%) 모집단 비율(%) 편향(%p)
남성 60.4 52.1 8.3
여성 39.6 47.9 8.3
18-29세 46.3 50.7 4.4
30-39세 53.7 49.3 4.4

질문 설계부터 의도된 편향 의심돼

분석 결과, 질문지 설계 자체가 특정 정치 성향 응답자의 이탈을 유도하는 구조로 보입니다.

● 첫 질문 효과: 정당 지지도를 첫 질문으로 배치하여 정치적 관심도가 낮은 응답자들의 초기 이탈 가능성

● 질문 프레이밍: 대부분의 질문이 현 정부 관련 정치적 쟁점이나 이재명 대표에 대한 부정적 질문으로 구성

● 조사 시점: 정치적으로 민감한 시기에 진행되어 여당 지지자의 적극적 참여와 야당 지지자의 거부 경향 강화

"가중치 보정만으로는 한계" 전문가 경고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가중치 보정은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만 조정할 뿐, 정치 성향에 따른 체계적 무응답 편향은 해소하지 못한다"고 지적합니다. 68차 조사의 경우 여성 응답자에게 1.20배의 가중치를 부여했으나, 응답률이 1.4%에 불과한 상황에서는 이러한 보정만으로 편향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어렵다는 분석입니다.

여론조사 신뢰성 회복을 위한 개선책 시급

이번 분석 결과는 현행 여론조사 시스템의 근본적인 개혁 필요성을 제기합니다.

1. RDD+ARS 방식의 전면 금지

2. 최소 응답률 기준 강화 (최소 7% 이상)

3. 질문지 설계의 독립성 확보

4.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의 감독 강화

여론조사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그러나 이번 분석은 여론조사가 특정 정치세력의 의도에 따라 조작될 수 있다는 우려를 강하게 제기합니다.

관련 심층 기사:

● 여론조사 해부 2: 여론조사의 위기: 신뢰성 논란과 해법

● 여론조사 해부 4: 여론조사공정(주)-데일리안의 '여론조작' 의혹

● 여론조사 해부 6: 이재명 '악마화' 프레임 분석

독립신문, 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