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청사. 경기도가 도 내 중소기업의 경영환경 개선을 위해 지원 대상 522개 사업에 대해 기반시설 개선, 노동환경 개선, 지식산업센터, 작업환경 개선, 소방시설 등 5개 분야로 나눠 지원하는 '2025년도 기업환경 개선사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기로 했다. 사진=경기도
경기도가 도내 중소기업들이 안정적인 경영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기업 주변 도로 포장, 기숙사 신축, 소방설비 설치 등 환경 개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경기도는 28일 ‘2025년도 기업환경 개선사업’의 지원 대상 622개 사업을 확정하고 본격적으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중소기업이 밀집한 지역의 기반시설을 정비하고 작업환경을 개선해 기업 경쟁력을 높이고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기 위한 사업이다.
올해 사업은 기반시설 개선, 노동환경 개선, 지식산업센터 개선, 작업환경 개선, 소방시설 개선 등 5개 분야로 나눠 지원된다.
19개 사업에 최대 7억원까지 지원되는 기반시설 개선은 중소기럽 밀집지역의 도로 확·포장, 상하수도 정비 등이 해당되고, 특히 기존 5개 기업 이상이 참여해야 했던 요건을 완화해 3개 이상 기업이 참여하면 지원 가능하게 된다.
79개 사업에 종업원 200명 미만, 매출 300억원 이하의 중소기겁을 대상으로 4000만원 한도 내에서 지원하는 노동환경 개선사업은 기숙사, 식당, 화장실 유게공간 등 노동자 편의시설 설치 및 개보수를 지원한다.
5개 사업에 종업원 50명 미만 제조업 영세기업에게 최대 6000만원을 지원하는 지식산업센터 개선사업은 준공 후 7년 이상 경과된 지식산업센터의 노후화장실, 설비 개보수를 지원한다.
486개 사업을 대상으로 종업원 50명 미만 제조 영세기업을 대상으로 최대 2000만원 지원하는 작업환경 개선사업으로는 바닥, 천장, 벽면 개보수와 작업대, 환기, 집진장치 등 개선을 지원한다.
소방시설 개선은 33개 사업이 해당되는데, 직원 200명 미만, 매출 300억원 이하 중소 제조기업 및 준공 7년 이상 지식산업센터를 대상으로 경보설비, 무선 화재 감지기, 노후 전기배선 교체 등 소방시설을 보강 지원하며 올해부터 지원 한도를 기존 6000만 원에서 7000만 원으로 상향했다
경기도는 지난해 8월부터 시군별 수요조사를 진행한 후, 현장 조사와 사업 심의를 거쳐 이번 지원 대상을 선정했다.
총 143억 원(도비+시군비)이 투입될 예정으로, 이는 지난해보다 3억 원 증가한 규모다.
경기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경영 부담을 줄이고, 근로환경을 개선함으로써 기업과 근로자가 함께 성장하는 산업 환경을 조성할 계획임을 밝혔다.
경기도의 한 영세사업자는 “경기도가 어려운 중소기업들의 경영여건을 개선해 종 머 나은 작업환경을 조성해 줌으로써 작업자들이 좀 더 좋은 여건에서 근무를 할 수 있게 돼, 중소기업의 고질적인 어려움인 이직을 어느정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