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시청사 전경. 과천시가 2025년 상반기 '과천 시민 우선채용 지원사업' 지원 대상자를 2월 7일까지 모집한다. 과천시민을 채용하는 관내의 중소기업, 벤처기업, 소상공인에 대해 고용보조금과 교육보조금을 지원하기로 한 것이다. 사진=과천시

과천시가 과천시민의 일자리 확대를 위해 과천시민 우선채용 기업에 대해 지원에 나서면서 과천시 소재 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과천시는 20일 2025년 상반기 ‘과천 시민 우선채용 지원사업’ 지원 대상자를 2월 7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지원 대상 기업은 과천시 관내 중소기업, 벤처기업 및 소상공인으로,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월평균 상시 고용인원이 3명을 초과하고, 과천시와 시민 우선채용 협약을 체결한 기업이어야 한다.

또한, 기업이 2024년 7월 1일부터 2025년 2월 7일 사이에 신규 채용한 인원 중, 과천시에 주민등록을 둔 지 1년 이상 된 만 20세 이상 시민이 있는 경우 인건비와 교육비 지원을 신청할 수 있다. 한 기업당 최대 3명까지 지원이 가능하며, 지원 기간은 최대 3년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해당 기업에 대해서는 고용보조금과 교육보조금으로 나뉘어 지원하는데, 고용보조금은 주 40시간 근무 기준으로 월 최저임금의 50% 이내(104만8130원 이하)를 지원한다. 신규 채용 후 2년간 고용을 유지해야 하며, 재심사를 통해 최대 3년까지 지원이 가능하다.

교육보조금은 채용자당 1회에 한정되며, 월 최저임금의 60% 이내(125만7760원 이하)가 지원된다. 주 15시간 이상 40시간 미만 근무자의 경우, 근로시간에 비례해 보조금이 지급된다.

신계용 과천시장은 “과천 시민 우선채용 지원사업은 기업과 시민 모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사업”이라며 “많은 기업이 이 사업에 참여해 경영 안정과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과천시의 과천시민 우선채용 지원책에 대해 지역이기주의 모습이란 지적도 나오고 있다. 과천이외 지역의 취업준비생들은 입장에서는 취업시장의 블록화로 인해 지방 거주자의 역차별이 우려된다는 불만의 소리가 나오는 것이다.

지역 거주민 우선으로 채용을 한다면, 서울이 가장 유리하고 지방으로 갈수록 일자리가 드믈기 때문에 일자리에 있어서도 수도권과 지방 간의 양극화가 심각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올 수 밖에 없다.

경기도 군포시의 한 취업준비 청년은 “서울을 비롯해 일자리가 많은 곳들이 지역 내 거주민 중심으로 채용을 하게 되면 그렇지 못한 지역 주민들은 결국 자기 지역을 이탈해 서울을 비롯해 일자리 있는 곳으로 이동해야 하는데 그럴 경우 사회적 불균형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