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67개국 중 20위를 차지해 역대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 특히 국민소득 3만달러•인구 5천만 이상 국가인 '30-50클럽' 7개국 가운데서는 미국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18일 기획재정부는 이런 내용의 IMD '2024년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IMD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과 신흥국 등을 대상으로 매년 6월 세계경쟁력연감을 발표한다. 국가경쟁력은 기업을 경영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역량을 평가한다.
IMD가 계량지표와 올해 3∼5월 설문한 지표를 토대로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올해 20위로 집계돼 2023년(28위)보다 8계단 올랐다. 1997년 평가 대상에 포함된 이래 최고 순위다.
싱가포르가 작년(4위)보다 올라 1위를 차지했고, 이어 스위스, 덴마크, 아일랜드, 홍콩 등 순으로 나타났다. 대만이 8위, 미국과 중국은 각각 12위, 14위로 나타났다. 독일이 작년 22위에서 24위로 떨어져 우리나라보다 밑으로 떨어졌으며, 일본은 38위다.
우리나라는 국민소득 3만달러·인구 5천만 이상 국가인 '30-50클럽' 7개국 가운데서 미국에 이어 두 번째다. 인구 2천만명 이상 30개국 중에는 7위다.
4대 분야별로 살펴보면 '기업 효율성' 분야가 33위에서 23위로 10계단 올라 종합 순위 상승을 이끌었다.
생산성·효율성(41→33위), 노동시장(39→31위), 금융(36→29위), 경영관행(35→28위), 태도·가치관(18→11위) 등 5개 부문 골고루 상승했다.
'인프라' 분야도 16위에서 11위로 5계단 올라갔다. 기본 인프라(23→14위), 기술 인프라(23→16위), 과학 인프라(2→1위), 교육(26→19위) 등의 부문 순위가 오른 결과다.
△ 민간 서비스수지 62위 '뚝'…조세정책도 큰 폭 하락
'경제성과' 분야는 14위에서 16위로 두계단 하락했다. 성장률(44→34위) 등 국내경제 부문 순위가 11위에서 7위로 올랐으나 국제무역 부문이 42위에서 47위로 떨어져 이를 상쇄했다.
국제무역 세부 지표 중 전반적 무역수지(54→49위) 순위는 상승했지만 여행수지 악화 등으로 민간 서비스수지 순위가 38위에서 62위로 큰 폭 하락했다.
국제투자와 물가 부문도 각각 3계단(32→35위), 2계단(41→43위) 하락했다. 고용 부문은 4위로 유지됐다.
'정부 효율성' 분야는 38위에서 39위로 떨어졌다. 이 분야 가운데 재정(40→38위), 제도 여건(33→30위), 기업 여건(53→47위), 사회 여건(33→29위) 등 4개 부문 순위가 올랐으나 조세정책이 26위에서 34위로 하락했다.
조세정책 부문 중 2022년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조세가 32위에서 38위로, 소득세가 35위에서 41위로, 법인세가 48위에서 58위로 떨어졌다. 조세 부담 증가가 순위 하락을 이끌었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앞으로 평가 결과를 참조해 '민간이 끌고 정부가 미는 역동적 경제' 정책 기조에 따라 기업 효율성 제고를 더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며 "종합적인 국가경쟁력 강화에 더욱 힘쓸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업의 한 간부는 “국가경쟁력 평가 순위가 올라간 것은 반길 일이지만, 국가 성장 잠재력 측면에서 살펴보면 아직 우리나라가 상위권에 있다고 말하기는 아쉬운 부분이 많다”면서 “지금이라도 미래 경쟁 잠재력 측면에서 기초체력을 키우는 정책과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
저작권자 ⓒ 수도시민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