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지방정부 최초로 행정 전반에 생헝형 AI를 도입하기로 하고 관련 설명회를 진행했다. 사진=경기도

경기도가 지방정부 최초로 행정 전반에 생성형 인공지능(AI)를 도입하기로 해 도민들은 물론 타 지방정부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경기도가 도입한 생성형 AI는 국내기업에서 만든 인공지능 5개 모델에 경기도행정정보를 학습시켜 만든 것으로, 경기도는 자체적으로 통제하고 운영할 수 있는 독립적 AI 시스템이란 점에서 정보유출, 개인정보 유출의 우려가 없도록 만들었다고 자평하고 있다.

‘경기 생성형 AI플랫폼’은 AI가 행정 문서를 작성·검색·요약하고 회의록을 자동 정리하며, 법규·심판 사례를 분석해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이다. 공무원의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업무를 자동화하면서 좀 더 창의적인 도정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데이터 기반의 객관적 행정 실현도 가능해졌다.

‘경기 생성형 AI플랫폼’ 서비스 시작을 맞아 경기도는 4일 도청사 단원홀에서 공공영역 내 소버린 AI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토론회 ‘소버린 AI 방향을 묻다’를 열었다.

김기병 경기도 AI국장은 토론회에 앞서 ‘경기 생성형 AI플랫폼’이 가지고 있는 ▲AI업무지원관 ▲AI문서작성 ▲AI행정자료 검색 ▲AI회의관리 ▲행정심판업무지원 ▲자치법규입안지원 기능 등 주요 기능을 소개했다.

‘소버린 AI’는 특정 국가나 기관이 자체 데이터·인프라·인력을 기반으로 외부 플랫폼 의존 없이 독립적으로 인공지능(AI)을 개발하고 운영해 데이터 주권과 안전성을 확보하는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이다.

경기도는 시범운영을 통해 플랫폼의 안정성과 활용도를 검증한 뒤 향후 다양한 행정 수요에 맞춰 도민 서비스에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경기도의 한 AI 전문가는 “생성형 AI시대에 이어 피지컬 AI 시대로 접어들고 있는데, 그만큼 정형적인 행정업무는 AI가 대부분 해결할 수 있게 된 것이고, 앞으로 피지컬 AI시대가 본격화되면 실제 사람이 하는 업무보다 더 정확하고 수요를 찾아서 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에 일손이 남아돌게 된다”면서 “앞으로 사람은 AI가 대신 할 수 없는 감성적인 것과 독창적인 혁신 아이디어를 내는 것 등 창의적인 업무를 주로 담당하면서 행정의 혁신을 주도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