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3일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와 '생성형 AI 속 경기도 자료 오류 대응 간담회'를 가졌다. 사진=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아직 완벽한 정보가 갖추어져 있지 않은 AI의 오류를 바로잡기 위해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와 ‘글로벌 AI 대사’ 양성 관련 협력방안을 논의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경기도는 김 지사가 13일 경기도청에서 박기태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VANK. Voluntary Agency Network of Korea) 단장과 연구원 등 10명이 참석한 가운데 ‘생성형 AI 속 경기도 자료 오류 대응 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간담회에서는 AI 기술이 생성한 경기도 관련 오류 사례로 현 강원도 춘천시 남이섬을 경기도 가평군 남이섬이라고 답변하거나 경기도의 광교청사 이전 연도를 2016년, 2023년 등 제각각으로 안내하는 경우 등이 소개됐다. 또 기후행동 기후소득이나 버스 환승제도, 청년정책 등 경기도 정책에 대한 서술 오류, 경기도 문화유산의 이미지를 변형하거나 역사적 맥락이 축소되는 사례도 다수 확인돼 시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크는 ▲경기도 공식 누리소통망(SNS), 누리집, 앱을 통한 AI 오류 신고 캠페인 전개 ▲AI 오류 신고보상시스템 도입 ▲도내 대학·연구기관의 AI 관련 학과 및 민간기업과 협력 모델 구축 ▲경기도형 AI검증 플랫폼 및 AI 오류 아카이브 구축 등을 제안했다.
김 지사는 “반크가 도에서 같이 할 수 있는 좋은 제안들을 많이 해주었는데 함께 했으면 좋겠다. AI 오류는 경기도청이나 공공기관이 아니라 일반 도민들이 찾으면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도 고려해 봤으면 한다”며 “오늘 회의를 계기로 실국별로 구체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을 만들어서 협력하도록 해달라”고 말했다.
경기도는 생성형 AI 시대의 정보 신뢰도 확보와 윤리적 활용 기반 마련을 위해 반크와 협력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특히 도민이 직접 참여하는 데이터 클라우드소싱 기반의 오류 탐지 시스템과 경기도형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을 통해 행정 혁신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경기도의 한 관광업소 대표는 “요즘은 AI가 엄청나게 많은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고 있는데, AI가 학습한 정보에 오류가 있을 경우 잘못된 정보를 기준으로 가공해서 팩트 오류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면서 “이러한 오류를 바로잡기 위해 경기도가 나선 것은 매우 바람직스럽고 국가사업으로 채택해 오류를 잡는 작업을 하나하나 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