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서구 수도권 제3매립장. 지난 2020년 인천시가 서울시·경기도와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는 수도권매립지 3매립장을 2025년 종료하겠다고 공식 선언해 수도권 쓰레기매립장 건립이 시급한 상황이다. 사진=인천시
그동안 3차례 공모에서 사업자 선정에 실패한 수도권 대체매립지 4차 공모를 마감한 결과 2곳이 응모에 나서 5년 여 끌어온 수도권 대체매립지 선정이 마무리 될 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경기도는 기후에너지환경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와 10일 오후 6시 수도권 대체매립지 4차 공모를 마감한 결과, 민간 2곳이 응모했다고 11일 밝혔다.
응모 부지에 대해서는 기후에너지환경부와 수도권 3개 시·도 등 4자 협의체가 공모조건 등 적합성을 확인해 후보 지역안을 도출하며, 관할 지자체의 입지동의 설득을 위한 협의조건(매립 및 부대시설의 종류‧규모, 특별지원금, 지역 숙원사업 및 건의과제 등)을 4자 협의체에서 세부적으로 조율한 후 해당 지자체와 협의에 들어갈 계획이다.
지자체 협의 결과에 따라 4자 협의체가 최종 후보지역을 도출하면 그 결과를 공개하는 것으로 기후에너지환경부와 수도권 3개 시도는 합의했다.
서울·경기·인천 지역 쓰레기를 매립하는 수도권매립지 공모는 지난 2021년 두차례 응모 없이 사업자를 찾지 못했고, 지난해 3~6월에 진행된 3차 공모도 응모가 없어 무산된 바 있다.
이에 환경부와 관련 3개 지자체는 지난 5월 수도권매립지정책 4자 협의체를 구성해 ‘자원순환공원 입지후보지 4차 공모’를 10월 10일까지 150일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에는 공모 조건도 대폭 완화했다. 최소 면적은 30년 사용 전제로 시·도별 폐기물 감량 목표 등을 반영해 기존 90만㎡에서 50만㎡(기반시설이 포함된 매립 40만㎡+부대 10만㎡) 규모로 크게 줄였다. 아울러 이 기준 대신에 용량이 615만㎥(기반·부대 인프라 별도) 이상일 경우에도 접수가 가능하도록 했다.
앞서 기초지자체장만 응모할 수 있었던 것을 이번에 민간(개인·법인·단체·마을공동체)으로 확대시켰다.
경기도의 한 주민은 “현재의 쓰레기 매립지가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어서 대체매립지 조성이 시급한 상황이다”면서 “그동안 3차례의 공모에서 응모자가 나오지 않았던 데 반해 이번에 응모자가 나와 다행이라고 생각하며, 환경부나 해당 지자체가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해 반드시 대체매립지 건설이 성사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