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경제자유구역으로 신규 지정된 안산사이언스밸리지구 위치도. 사진=경기도

안산사이언스밸리지구가 경기경제자유구역 신규지구에 추가 지정되면서, 글로벌 혁신 생태계 구축의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경기경제자유구역청은 지난 22일 산업통상자원부 제145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에서 안산사이언스밸리지구가 경기경제자유구역에 추가 지정하는 안이 의결됐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안산사이언스밸리(1.66㎢) 추가지정 지정으로 경기경제자유구역 면적은 기존 평택포승지구 등 3개지구 5.24㎢에서 약 32% 증가한 6.9㎢로 확장됐다.

경기경제자유구역청은 추가 지정된 안산사이언스밸리지구를 글로벌 연구개발(R&D) 기반 첨단로봇․제조산업의 거점으로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반월국가산업단지(15.4㎢)와 시화국가산업단지(16.1㎢)를 디지털 전환(DX) 해 경기도 제조산업의 혁신모델을 견인하겠다는 계획으로 사업기간은 2025년부터 2032년까지다. 사업비는 4105억 원으로 추정된다.

경기경제자유구역청은 첨단로봇 ․ 제조산업 육성 추진 전략으로 ▲거점대학 중심의 글로벌 산학연 혁신생태계 조성 ▲글로벌 R&D 플랫폼 조성 ▲첨단로봇 집적화 및 고도화 ▲반월․시화국가산단 디지털 혁신 전환 ▲살기 좋은 글로벌 미래도시 건설 등을 제시했다.

경기경제자유구역청은 안산사이언스밸리지구 개발조성을 위한 사업비 투입과 국내외 첨단로봇기업 유치 등을 위한 각종 투자 지출로 인해 2조 2000억 원의 생산유발액과 1만2000여 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김능식 경기경제자유구역청장은 “경기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을 계기로 경기도가 미래 첨단산업을 주도하고,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는데 큰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면서 “사업시행자인 안산시·한양대와 함께 첨단로봇 분야의 국내·외 기업들을 적극 유치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의 한 기업인은 "안산은 기존의 반월국가산업단지와 시화국가산업단지 등 산업단지 환경이 조성돼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경기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에 따른 첨단 로봇산업을 발전시키기에 충분한 여건이다"면서 "특히 에리카 캠퍼스 등 산학연계 여건도 첨단 로봇 산업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