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이 18일 인천시공무원노동조합과 '청렴실천 협약'을 체결하고 관련자들과 악수를 하면서 청렴 의지를 다지고 있다. 사진=인천시
국민권익위원회의의 ‘2025년 공공기관 종합 청렴도 평가’가 한창 진행중인 가운데, 수도권 지자체 및 지방의회 등이 청렴 관련 서약을 하는 등 본격적인 청렴행정 행보에 나서고 있다.
18일 인천광역시는 시청 대접견실에서 인천시공무원노동조합과 ‘청렴실천 협약’을 체결하고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전 직원이 참여하는 반부패·청렴 시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청렴한 조직문화를 만들기 위해 마련됐다.
협약식에는 유정복 인천시장과 신태민 위원장을 비롯한 양측 관계자들이 참석해 협약서에 서명하고 이어진 간담회에서 청렴정책 추진 방향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청렴협의체 구성 및 운영 ▲청렴도 향상을 위한 교육·캠페인 공동 추진 ▲부정청탁 및 불합리한 관행 등 부패 행위 척결 ▲청렴문화 확산 이행과제 공동 개발 등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또한, 간담회에서는 ▲청렴실천 공동 캠페인 전개 ▲청렴문화 확산 교육 공동 운영 ▲청렴 아이디어 공모 등을 함께 추진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청렴은 공직의 기본이며 시민 신뢰의 출발점”이라며 “노조와 함께 한뜻으로 협력한다면 청렴도 상위 수준 달성은 물론, 투명하고 공정한 시정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서울시도 지난 5월 13일 청렴사회 구현을 위해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서울시청 지부와 함께 청렴을 다짐하는 서약식을 가진 바 있다.
서울시는 4월 24일 서울시공무원노동조합과의 서약식에 이어 5월 13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서울시청지부와도 청렴 서약식을 가짐으로써 양대 노조 모두와 서약식을 갖고 권익위의 청렴도평가에서 1등급을 달성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함께 하기로 약속한 것이다.
서울시의 청렴도 서약 주요 내용은 ▲청렴사회 구현을 위한 솔선수범 다짐 ▲이해충돌 방지·공무원 행동강령 준수 ▲공익 우선 추구 ▲권한 남용, 금품‧향응 수수 등 부정행위 금지 등이다.
그러나 경기도의회에서는 청렴 서약식을 가진 직후 현직 의원들의 비리 사건이 터지면서 청렴 서약식의 의미가 훼손되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했다.
경기도의회는 지난 7월 15일 전 의원이 참여하는 ‘청렴 서약식’을 가진 바 있다. 이 서약식에서 전체 도의원들은 ▲법규 준수 및 부패 예방 ▲부당 이익추구 금지 ▲권한 남용, 이권 개입, 부정 청탁 및 알선 금지 ▲금품·향응수수 금지 등을 다짐했었다.
그러나 서약식 약 2주 후인 7월 28일 경기도의회 의원 4명과 전직 화성시의원 1명이 금품수수 협의로 안상상록경찰서로부터 자택 및 사무실을 압수수색 받는 사태가 벌어졌다.
경찰은 의원들이 ITS 사업을 담당한 업체 대표 A 씨로부터 금품과 향응을 받고, 특조금 지원 과정에서 편의를 제공했는지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경기도의회의 청렴 서약식은 행사를 위한 행사에 그치고 실제 의원들은 향응과 이권 챙기기에 몰두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경기도의 한 시민은 “공무원들이 정부 평가를 앞두고 전시행정 차원에서 청렴 서약식을 의례적으로 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실제 자정기구를 만들어 철저한 부패방지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을 경우 보여 주기식 청렴 서약식은 별로 효과를 보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