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사진 오른쪽)가 14일 의왕시 학의동 근린생활시설 건설공사 현장을 방문해 안전점검을 실시했다. 사진=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지난 14일 건설공사 현장을 방문해 안전점검을 했지만, 근래 이재명 대통령이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에서의 근로자 사망사고에 강력히 대응하는 모습을 보이자, 늦게나마 현장 안전을 챙기는 모습을 보이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올해 들어 건설현장을 비롯해 산업재해의 상당수가 경기도에서 발생했고, 특히 사망사고가 집중적으로 일어난 만큼, 진작에 도지사가 안전을 챙겼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김 지사는 이날 경기도 의왕시 학의동 근린생활시설 건설공사현장을 방문해 공사 실태와 함께 안전점검을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이재명 대통령께서도 산업현장에서의 안전을 강조하셨기 때문에, 국정의 제1파트너로서 경기도가 가장 앞장서겠다는 마음으로 달려왔다”면서 “혹시 위험 요인이 발견되면 바로 작업을 중지할 수 있도록, ‘작업중지권’이 경기도 사업장에서 잘 작동할 수 있도록 사업주들과 협의가 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는 여러 현장에서 근로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지만, 경기도가 해결할 수 있는 권한이 제한돼있어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현재 근로감독관이 행사하는 근로감독권은 중앙정부의 권한이기 때문에 사고에 따른 사후조치에 대한 강제성이 없어 산재사고를 막는 데 한계가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동안 경기도는 50억원 미만 규모의 건설 및 제조업 현장에 대해 산업현장의 위험요인을 발굴해 개선하는 ‘노동안전지킴이’ 제도를 시항하면서 위험요인을 85.2% 개선했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이러한 효과를 전체 현장으로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에 있는 근로감독권을 지방정부로 이양하거나 위임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내놓으면서, 현재 중앙정부와 ‘근로감독권 위임’ 문제와 관련해 협의를 진행중임을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초기부터 건설현장을 비롯한 산업재해에 강력하게 대응하고 있는 만큼, 김 지사가 안전지킴이 역할을 강조하고 나선 배경에는 올해만 해도 경기도에서 대형 안전사고가 다수 발생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올해 경기도에 현장에서 발생한 대형안전사고는 9개에 달한다. 1월 8일 수원 농협 경기지역본부 사옥 신축현장에서 건설폐기물에 머리를 맞아 사망, 2월 25일 서울-세종고속도로 안성부근에서 교량 상판붕괴로 4명 사망, 3월 8일 평택 화양도시개발구역 힐스테이트 현장에서 50대 근로자 사망, 3월 15일 파주 복합시설 현장에서 낙하물에 맞아 사망, 4월 11일 신안산선 광명구간 터널 붕괴로 사망, 4월 23일 여주 물류센터 현장에서 추락사, 6월 24일 광주시 지식산업센터에서 50대 노동자 추락사, 8월 8일 의정부 신곡동 아파트 현장에서 50대 노동자 추락사,
여기에 지난 8월 4일에는 광명-서울고속도로 현장에서 30대 라오스 근로자가 감전사고를 당해 의식불명 상태가 됐지만, 6일 만에 깨어나는 사고가 발생했다.
여기에 더해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 산업현장을 방문한 SPC삼립 경기도 시흥공장에서 그동안 여러 안전사고 및 사망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김 지사가 이번에 대통령의 안전 강조의 뜻을 받아 직접 건설현장을 챙긴 만큼 앞으로 경기도의 사업재해가 줄어들 수 있을 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기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