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가 13일 '제2차 인천광역시 청년정책 기본계획' 착수보고회를 열고 향후 추진방향 및 과업의 범위등을 공유했다. 사진=인천시

인천광역시가 ‘청년이 행복한 인천’을 만들기 위해 그동안 추진해온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2026년부터 더 확대 발전시키기 위해 2단계 청년정책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해 청년들의 관심이 몰리고 있다.

인천시는 13일 시청 공감회의실에서 ‘제2차 인천광역시 청년정책 기본계획’ 착수보고회를 열고 향후 추진방향 및 과업의 범위 등을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고 밝혔다.

청년정책과 관련된 5대 분야는 일자리, 주거, 교육, 문화·복지, 참여·권리 등으로 이날 보고회에는인천시의 관련 부서장들을 비롯해서 인천연구원, 인천도시공사,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청년정책네트워크 등 관계자들이 참석해 정책 추진 방향성을 논의했다.

이번 계획에서는 그동안 인천시가 추진해 온 청년정책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정책 환류 과정을 통해 미비점을 보완·개선하는 데 중점을 둘 예정이다. 또한, 청년의 생애주기 전반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을 발굴하고, 청년이 일상에서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중심으로 정책을 재설계할 계획이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용역 수행기관인 ㈜더가능연구소가 연구 추진 방향과 향후 계획을 보고했으며, 인천시는 이번 착수보고회를 출발점으로 청년, 행정, 전문가가 함께하는 협력 기반을 더욱 강화하고, 청년의 삶 속에서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정책 개발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황효진 글로벌도시정무부시장은 “이번 계획은 단순한 행정계획이 아닌 청년과 함께 만들어가는 실질적인 행동계획이 되어야 한다”라며 “청년을 정책의 대상이 아닌 동반자로 인식하고, 청년의 눈높이에서 정책을 설계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인천시의 한 청년은 “이미 인천은 여러 정책을 통해 청년들을 배려하고 지원하고 있어서 청년들의 시정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면서 “특히 결혼, 출산, 임대주택 등 청년들에게 집중적으로 지원되는 아이(i)플러스 정책으로 청년들의 생활이 많이 좋아졌는데,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더 확대 추진한다고 하니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