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청사. 경기도가 치매예방부터 진단, 가족돌봄까지 46개 치매안심센터를 통해 원스톱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사진=경기도
100만 치매환자 시대가 눈앞에 다가올 정도로 사회적 부담이 심각한 상황에서 경기도가 치매환자 예방을 비롯해 치매환자 가족 돌봄 프로그램까지 마련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해당 도민들에게 큰 힘이 되고 있다.
경기도는 치매예방부터 진단, 가족돌봄까지 46개 치매안심센터를 통해 원스톱 지원에 대한 이용을 적극적으로 해줄 것을 6일 요청했다.
3월 기준 치매환자 수가 97만여 명으로 특히 75세 이상 치매유병률이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서 경기도는 치매관리법에 근거해 1개 광역치매센터와 46개 치매안심센터를 운영 중으로, 800명이 넘는 종사자들이 치매관리사업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치매로 진단받지 않은 경기도민은 치매안심센터를 방문해 무료로 치매검사를 받을 수 있으며, 인지 저하가 의심될 경우, 치매안심센터 협력의사 및 협약병원을 통해 진단검사와 감별검사를 받을 수 있다.
치매환자 및 가족은 ▲치매치료관리비 지원 ▲치매환자쉼터 ▲조호물품(환자 돌봄에 필요한 기저귀 등) 지원 ▲치매환자 가족교실 ▲힐링프로그램 등 맞춤형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치매 진단을 받지 않은 도민도 ▲치매예방교실 ▲인지강화교실 ▲치매인식개선 활동 등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2025년 특화사업으로 ‘치매가족돌봄 안심휴가’를 운영 중이다. 이는 치매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육체적․정신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연 10일 이내 입원이나 돌봄에 대한 비용 최대 30만 원 지원하는 사업이다.
뿐만 아니라, 올해부터 치매 감별검사 비용(최대 11만 원) 지원에 대한 소득제한을 폐지하고, 치매치료비(연 36만 원) 지원의 소득 기준을 중위소득 120% 이하에서 140% 이하로 확대하는 등 보다 많은 치매환자와 보호자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유영철 보건건강국장은 “경기도내 치매 환자와 가족이 지역사회 안에서 존엄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경기도민이 치매에 대한 걱정 없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치매안심센터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 치매환자 가족인 김 모씨는 “치매는 진행이 느린 편이어서 예방과 초기단계에서의 관리가 절실히 필요한데, 경기도가 이러한 예방과 조기 발견에 신경을 써주는 것은 매우 효과적일 수 있고, 치료도 서둘러 할 있을 것이다”면서 “특히 가족에 대한 지원까지 신경써주는 것은 매우 고마운 일이고 큰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