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청사. 경기도가 2026년부터ㅓ 2030년까지 인공지능 및 데이터 정책 종합 청사진을 담은 '경기도 인공지는 종합계획' 수립에 나서기로 했다. 사진=경기도
경기도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인공지능(AI) 및 데이터 정책의 종합적 청사진을 담은 ‘경기도 인공지능 종합계획’을 수립한다.
경기도는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AI 도민서비스 확대 ▲기업경쟁력을 강화하는 AI 산업생태계 조성 ▲혁신행정을 확대하는 AI 행정서비스 제공 ▲안전·신뢰할 수 있는 AI 인프라 조성 등 4대 추진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위한 연구 용역을 3월부터 시작한다고 20일 밝혔다.
도는 국내외 시장 현황 분석과 도민 인식 조사를 기반으로 부문별 추진 전략을 마련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공공서비스 혁신 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특히, 챗GPT를 비롯한 생성형 AI의 발전과 최근 딥시크(DeepSeek) 등 새로운 AI 모델의 등장 등 급변하는 기술 환경에 대응하고, 경기도의 경쟁력 있는 AI 산업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둘 예정이다. 또한,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AI 혁신 행정 및 공공서비스 발굴을 핵심 목표로 삼는다.
아울러, 인공지능 종합계획에서 도출된 핵심과제에 AI 기술을 시범 적용해 실질적인 정책 구현 가능성을 검증하고, 각 산업 분야에 AI를 접목할 수 있도록 지원 조직의 설립 필요성과 추진 방안을 연구할 방침이다.
김기병 경기도 AI국장은 “인공지능 기본조례 제정, AI 국제영화제 개최, 생성형 AI 사전컨설팅 등 경기도의 AI 선도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AI 생태계에 민첩하게 대응할 종합계획을 수립하겠다”며 “AI 전문가, 산업계, 학계, 도민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하고, AI 기술을 활용해 도민의 삶을 더욱 윤택하게 만들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종합계획은 지난해 7월 전국 최초로 제정된 ‘경기도 인공지능 기본조례’에 근거한 것으로, 향후 정부 차원에서 마련할 ‘인공지능 기본계획’과 연계해 추진될 예정이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