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푸르지오원클러스터’ 청약 참패 이어 계약 비상…악성 미분양 우려

-용인에서 외진 곳에 고층 다닥다닥 아파트를 용인 최고 분양가 책정
-청약자 1552명 중 1006명인 65%가 실수요 아닌 외지인…장기 미분양 우려

이주연 기자 승인 2024.08.27 10:26 | 최종 수정 2024.08.27 10:27 의견 0
8월 초 견본주택을 오픈한 '용인푸르지오원클러스터' 관람객들이 단지 모듈에는 관심이 없고 모두 경품 이벤트에만 관심을 보이면서 모형에 눈길을 주는 사람이 없다. 사진=수도시민경제

고밀도개발로 인한 다닥다닥 아파트란 불리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고가 분양에 나선 ‘용인푸르지오원클러스터’가 청약 참패에 이어 다음달 2일부터 시작되는 계약에 비상이 걸렸다.

총 3724가구 중 1단계로 분양에 나선 1681가구에 대한 특별공급과 1, 2순위 청약에서 대부분의 타입에서 청약 미달이 났는데, 특히 해당지역 이외의 투자 목적을 가진 기타지역 청약자가 상대적으로 많아 실제 계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통상 해당지역 청약자는 상대적으로 실거주 목적으로 청약하는 경우가 많아 계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지만, 기타지역 청약자는 청약을 한번 넣어보고 분위기가 좋을 경우 웃돈을 붙여 전매를 하거나 계약까지 진행해 프리미엄을 챙기는 경향이 높다.

용인푸르지오원클러스터의 경우 이달 11일 진행된 특별공급에서 826가구 모집에 417명이 청약에 참여해 0.5대 1의 경쟁률을 보여 청약미달이 났고, 청약미달 분 409가구가 일반분양으로 넘어가 1, 2순위 총 1259가구를 대상으로 12일과 13일 이틀에 걸쳐 청약을 받았다.

1, 2순위 청약 결과 총 1259가구 모집에 1552명이 청약에 참여해 평균청약경쟁률 1.2대 1을 기록했다.

그러나 청약 신청자 1552명 가운데 용인지역 거주자 이외의 서울·경기·인천 거주자 청약자가 1006명으로 전체 청약자의 64.8%를 차지한 것이다.

전체 청약 성적 1.2대 1이라는 실제 미달 성적에 더해 해당지역 이외의 기타지역 청약자가 65%에 이른다는 것은 실수요자가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는 것을 말한다.

통상 청약경쟁률이 6대 1이 넘을 경우 계약률 50%를 기대하는 사례를 놓고 보면 청약 자체가 지나치게 저조한 것인데 여기에 더해 실수요자라고 볼 수 없는 해당지역 이외의 청약자 비중이 반을 넘었다는 것은 향후 미계약 기간이 상당기간 길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올 수 밖에 없다.

부동산업계에서는 이번 용인푸르지오원클러스터의 경우 주변 반도체 산업단지에 대한 호재를 지나치게 분양가에 책정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삼성전자 기흥사업장과 삼성전자가 처인구 이동·남사읍 일대에 조성 중인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 그리고 원삼면 일대에 건설중인 SK하이닉스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로 인한 수요를 과다하게 평가했다는 것이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이미 용인지역은 동탄과 기존 용인 핵심 지역 중심으로 반도체 클러스터 호재가 반영됐고, 특히 동탄 일부 지역 이외는 반도체클러스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평택에서 반도체클러스터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아, 일대 부동산 시장이 초토화 된 것과 같은 현상이 용인에서도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용인푸르지오원클러스터의 3.3㎡당 분양가가 1900만원에 이른다. 용인 핵심지역의 시세나 분양가보다 높게 책정한 것이다. 즉 반도체클러스터 거품을 분양가에 과도하게 반영시킨 결과다.

이번 청약 참패는 이러한 과도한 분양가가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용인 거주자의 청약성적이 지극히 낮은 것은 이 지역 사정을 잘 아는 지역민이 볼 때도 위치에 비해 분양가가 지나치게 높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여기에 용인푸르지오원클러스터는 고밀도 개발로 허가가 나서 주변 환경과는 맞지 않은 쾌적함을 포기한 다닥다닥 아파트라는 지적이다.

이 아파트는 주변 녹지 환경과는 어울리지 않게 28층 높이로 들어서면서 법정한도 용적률 230%를 꽉 채워서 건설한다. 겉으로는 쾌적한 단지 조성을 내세우면서 실상은 개발이익을 극대화 하면서 빽빽한 아파트를 만들어 제공하는 식이다. 용인지역 주민이 청약을 하지 않은 이유도 바로 이런 부분을 알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시행사는 환경부로부터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받은 바 있다. 환경부 산하 한강유역환경청은 전략환경영향평가서 변경안에 대해 “당초 협의내용을 반영해 녹지 면적을 추가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러한 다닥다닥 고층아파트의 피해는 단지 내의 일조권 침해를 받는 단지 주민 외에도 인근지역 주민들에게까지 고스란히 이어지면서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 실제 이 단지 주민들도 예정된 30개 동 중에서 약 33% 이상은 일조량 수인한도를 만족하지 못할 것으로 추정된다.

주변에 있는 샤인빌 등 주민들이 일조권 침해에 더해 사생활 침해 민원을 제기하고 있다. 한 주민은 “해발고도 100m가 넘는 지역인데 거기다가 28층 높이를 지으면 주변 일대가 완전히 망가질 수 밖에 없다”면서 “이러한 고밀도 고층 아파트를 인허가 내준 용인시가 더 문제다”고 말했다.

실제 이 단지의 인허가 과정을 놓고 일찍부터 용인시 공무원의 이권 개입여부가 문제로 제기된 바 있다.

전직 용인시 도시계획과장이 2007년 14억원에 구매한 땅 1916평을 사업시행사에게 142억원에 팔아 막대한 차익을 남겼다는 것이다.

지역 환경단체는 해당 공무원이 재직 기간 동안 지구단위계획 주민제안서 접수, 도시관리계획 결정고시 등 주요 인허가가 진행됐다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이 같은 불법과 부정 의혹에 대한 진상을 밝혀 달라며 경기도에 감사를 의뢰한 바 있다.

이 후 이 공무원은 그만 둔 상황이지만, 중요한 결정은 이 공무원 재임 기간에 이뤄진 만큼 공무원의 이해충돌방지법 및 부패방지법 측면에서 충분히 문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용인시의 한 부동산업 대표는 “그동안 용인지역에 많은 아파트가 공급됐고 현재 공급이 넘쳐나는 상황인데, 용인푸르지오원클러스터의 경우 완전히 외진 곳에 있으면서 생뚱맞게 고층으로 오밀조밀 들어서게 되면 지역의 흉물이 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더구나 분양가까지 지나치게 높아서 미분양 기간이 상당기간 이어지는 악성미분양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진단했다.

이주연 기자

저작권자 ⓒ 수도시민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