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가 중심이 된 안양천지킴이 단체들이 25일 '안양천와글와글네트워크 보고회'를 갖고 지난 10년 간의 활동과 성과를 공유했다. 사진=안양시
안양시의 안양천을 지키는 시민들의 공익단체들이 지난 25일 안양시공익활동지원센터에서 그동안의 활동을 공유하는 ‘안양천와글와글네트워크 보고회’를 가져 안양천을 사랑하는 시민들의 관심이 모아졌다.
안양천와글와글네트워크에는 새롭게 참여한 ▲(사)경기환경보전운동연합총본부 외에 그간 꾸준히 모니터링을 해 온 ▲(사)안양과천군포의왕YWCA(이하 안양YWCA) ▲안양군포의왕환경운동연합 ▲안양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안양지역환경단체연합회 ▲안양YMCA가 함께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 수년간 안양천을 함께 걸으며, 왜가리·중대백로·청둥오리 등 생태 지표종의 이동과 서식 변화를 기록해 왔다. 일부 구간에서는 수달 흔적과 서식처가 확인됐으며, 이는 단체들의 꾸준한 관심과 관찰 덕분에 알려진 결과이다.
특히 올해는 생태계 교란식물 제거 활동이 집중적으로 진행되어 환삼덩굴, 단풍잎돼지풀 등 외래종의 확산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성과를 만들었다.
이날 보고회 1부에서는 연구협동조합 유랑의 서경옥 대표가 안양천모니터링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그동안 단체들이 각자 방식으로 축적해 온 자료의 종류도 다양하고 기록 방식도 달랐지만, 이를 표준화하고 흐름을 연결하면 안양천 변화의 장기 추세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2부에서는 참여 단체들이 올해 주요 활동인 ▲청소년과 시민을 대상으로 한 생태교육, 생물종 관찰 프로그램 ▲하천 정화활동, 생태계 교란종 제거와 같은 직접 실천 활동 ▲철새 이동, 어류·포유류 흔적, 식생 변화의 기록 등을 공유했다.
또한 안양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올해 진행했던 총 10회에 걸친 교란식물 제거 활동 과정을 소개한 데 이어, 안양YWCA와 안양군포의왕환경운동연합이 시민참여형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생태 감수성을 높이고 지역 주민의 관심을 모아낸 경험을 공유했다.
이어서 각 단체들은 그간 체감해 온 어려움 등을 솔직하게 공유한 가운데, 향후에는 민관협치 기반의 하천관리 모델을 함께 만들어갈 필요성에 공감했다.
이날 참석한 관계자는 “안양천은 단순한 하천이 아니라, 시민들의 산책길이자 교육 공간이며, 지역 생태의 축을 이루는 중요한 공공 자산이다. 10여 년간 축적된 시민단체들의 기록은 이러한 공공 자산을 지키기 위한 시민의 지식·노력·관심의 총합을 상징한다. 이번 보고회는 그 노력이 하나의 흐름으로 연결되는 첫 번째 장이 됐으며, 앞으로 더 많은 단체와 시민이 참여하는 ‘안양천 시민생태네트워크’로 확장될 가능성을 열었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