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7월 31일 '경기도 특별지원책 회의'를 긴급 소집하고 한미 무역협상의 피해가 예상되는 기업들에 대한 '특별경영자금' 5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사진=경기도

한미 무역협상 타결로 인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자동차 관련 산업이 상당수 몰려있는 경기도가 관련 기업들에 대한 특별 지원책을 내놔 관심을 모으고 있다.

경기도는 김동연 경기지사가 한미 무역협상 타결 당일 ‘경기도 특별지원책 회의’를 긴급 소집해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만들어 실시하기로 했다고 1일 밝혔다.

경기도에 따르면, 지원책은 우선 ‘특별경영자금’으로 500억원 추가지원하기로 했다. 경기도는 지난 4월 ‘미국산 시장개방 피해기업특별경영자금’ 500억원을 지원키로 한 바 있어, 이번 특별경영자금으로 총 지원규모는 총 1000억 원으로 늘어나게 됐다.

지난 4월 특별경영자금 500억 원 지원 결정 이후 현재까지 90개 업체에 399억원을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지원 한도는 업체당 최대 5억원 이내다

지원 대상도 기존 6대 품목에서 더 확대하기로 했다. ‘무역위기 대응 패키지 지원 사업’ 대상을 확대하기로 한 것이다.

현재 무역위기 대응 차원에서 6대 품목(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철강, 알루미늄, 구리)에 대해서 지원하고 있으나 이번 협상타결 이후 화장품이나 의료기기 분야 등의 피해가 예상되면서 지원 범위를 늘리기로 한 것이다.

또한 현재 진행중인 2차 추가경정예산안 중에서 관세협상 대책 예산은 ‘감액추경’에 포함시키지 않고 당초대로 집행하기로 했다. 현재 2차 추경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재원 등 마련을 위해 ‘감액추경’이 불가피한 상황이지만, 관세 관련 예산은 감액에서 제외하기로 한 것이다.

경기도는 앞으로도 ‘무역위기 대응 시즌2’ 준비를 해나가기로 하고, 이번 특별대책회의체를 일회성이 아닌 2차 3차 특협회의 소집을 통해 지속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김 지사는 이번 한미 무역협상에 대해 “첫째, 다른 경쟁국보다 불리하지 않은 결론을 도출한 점. 둘째, 시한 내 협상 결과 도출로 인해 시장에 안정감을 준 점. 셋째, 쌀이나 소고기 등의 농축산물 비관세 장벽을 잘 방어해낸 점” 등을 높이 평가받을 요인으로 꼽으면서 “우리 정부협상팀, 그리고 협상팀과 밤늦게까지 통화하면서 격려하고 지도했던 이재명 대통령께서 정말 수고 많으셨다”고 말했다.

그리고 “이제 여와 야, 보수와 진보를 떠나 이재명 정부의 실용외교, 국익외교에 모두의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할 때”라며 “경기도는 이제까지도 그래왔지만 앞으로도 국정의 제1동반자라는 자세와 각오로 최선을 다해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