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공공주도 해상풍력발전단지 위치도. 사진=인천시
인천광역시가 기후대책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중 하나인 해상풍력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민관 협의회를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인천시는 14일 2GW 규모의 공공주도해상풍력 사업에 대한 집적화단지 지정 신청을 위해 하병필 행정부시장 주재로 민관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집적화단지 지정은 추가 신재생에너지 인증(REC) 수익을 활용한 지역 상생방안, 주민 이익공유의 구체성, 민관협의회를 통한 수용성 확보 등이 주요 평가항목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인천시는 지난 6월부터 민간위원 12명을 개별적으로 방문해 사전 안건을 협의하고, 실질적인 의견 개진을 유도해 왔다.
또한, 인천시는 집적화단지 평가항목 중 하나인 안정적인 전력공급 계획과 환경성 확보계획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지난 5월 관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인천시 공공주도 해상풍력 과제관리자문단’을 구성해 지난 7월 11일 첫 회의를 개최하여 전문가 자문의견을 청취한 바 있다.
한편, 인천시는 오는 7월 말부터 공공주도 해상풍력 예정지 인근의 덕적도, 자월도 및 외곽 도서지역 주민과 어민들을 직접 찾아가 사업 정보를 제공하고 의견을 듣는 ‘숙의경청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이러한 의견 수렴과 자문 절차를 거쳐 집적화단지 사업계획서를 최종 완성한 후, 주민 공람 및 의견 청취, 민관협의회 협의 등의 과정을 거쳐 오는 9월 말까지 산업통상자원부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공공주도 해상풍력 사업에는 국비 21억7천500만원, 시비 8억7천만원, 한국중부발전 48억원, 인천도시공사 2억원을 합쳐 모두 80억4천500만원이 투입된다.
하병필 행정부시장은 “특별법 공포로 집적화단지 지정 신청이 시급하게 추진되고 있지만, 지역 주민과 어민 등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과 정보 공유에 소홀함이 없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라고 밝혔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