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인 대상 차기 대통령에게 요구되는 능력 여론조사 결과
여론조사에서 1975년 제정된 공공사무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을 받았다면 잠시 멈추고 생각해보셨나요? 이 질문에 답변한 사람 중 상당수는 이 법안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모른 채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가짜 의견(pseudo-opinion)' 현상입니다.
가짜 의견 현상의 발견
미국 신시내티 대학의 조지 비숍(Bishop) 교수와 그의 동료들은 1980년대에 흥미로운 실험을 수행했습니다. 그들은 여론조사에서 사람들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법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말하는지 알아보고자 했습니다. 그 결과는 충격적이었습니다. 필터 질문 없이 직접 물었을 때, 응답자의 약 3분의 1(33.2%)이 존재하지 않는 "1975년 공공사무법"에 대해 찬성 또는 반대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이 중 15.6%는 찬성, 17.6%는 반대했습니다.
누가 가짜 의견을 더 많이 제시할까?
연구진은 가짜 의견을 제시하는 경향이 특정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 교육 수준이 낮은 사람들: 고등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들이 가짜 의견을 제시할 가능성이 더 높았습니다.
- 흑인 응답자: 백인 응답자보다 가짜 의견을 제시하는 비율이 더 높았습니다.
- 정치 관심도가 낮은 사람들: 정치에 관심이 적은 사람들이 모르는 주제에 대해서도 의견을 제시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 타인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사람들: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들을 잘 믿지 않는 성향의 사람들도 가짜 의견을 더 많이 제시했습니다.
가짜 의견 걸러내기: 필터 질문의 효과
비숍과 동료들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터 질문(filter question)'이라는 방법을 제안했습니다. 필터 질문은 본 질문 전에 응답자의 해당 주제에 대한 지식이나 친숙도를 확인하는 예비 질문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필터 질문을 도입했을 때 가짜 의견의 비율이 극적으로 감소했습니다:
- 필터 질문 없이: 33.2%가 의견 제시
- "의견이 있으십니까?" 필터 사용 시: 7.1%만 의견 제시
- "많이 생각해보셨습니까?" 필터 사용 시: 4.5%만 의견 제시
이는 필터 질문이 가짜 의견을 85%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연구 결과는 여론조사 기관, 정책 결정자, 그리고 일반 시민 모두에게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 여론조사 기관에게: 필터 질문 도입을 통한 조사 정확도 향상
- 정책 결정자에게: 여론조사 결과 해석 시 필터 질문 유무와 방법론 확인
- 일반 시민에게: "모른다"고 말하는 것이 때로는 더 정직하고 책임감 있는 답변임을 인식
- 언론인: 여론조사 결과를 보도할 때 조사 방법론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
이 연구 결과는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여론조사는 우리 사회에서 중요한 기능을 합니다. 그러나 '가짜 의견' 현상은 그 신뢰성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필터 질문과 같은 방법을 통해 더 정확한 여론조사를 실시한다면, 우리는 더 투명하고 정확한 공론장을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필터 질문의 효과와 최적의 활용 방법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독립신문
<참고문헌>
Bishop, G. F., Oldendick, R. W., Tuchfarber, A. J., & Bennett, S. E. (1980). Pseudo-opinions on public affairs. Public Opinion Quarterly, 44(2), 198-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