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가 상대적으로 IT 역량이 떨어지는 관 내 중소기업들의 블록체인 기술 전파를 위해 적극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해 관련 중소기업들의 기대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시는 22일 중소기업들의 블록체인 기술을 산업에 접목시키는 ‘블록체인 바우처 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기업들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인천시와 인천테크노파크가 ‘2025년 인천 블록체인 허브도시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려는 지역 내 중소기업에게 수요기업당 최대 500만 원씩, 총 25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 도입 비용을 지원하는 것이다.

인천시는 지난 3월 ‘2024 인천 블록체인 산업 실태조사’를 한 바 있으며, 조사에 응답한 501개 기업 중 336개 기업(67.1%)이 도입 의사를 밝혔다. 주요 희망 분야는 반도체(30.1%), 디지털·데이터(20.5%), 뷰티(10.4%), 식품·유통(9.2%) 등으로 나타났다.

블록체인 도입을 희망하는 이유로는 ‘위변조가 불가능해 신뢰성이 높아진다’라는 응답이 63.1%로 가장 많았으며, ‘투명성 확보’와 ‘공급망 관리 절차 간소화’가 각각 39.3%로 뒤를 이었다.

기술혁신지원센터에서 블록체인 도입 희망 의사가 있는 지역 중소기업에게 인천 블록체인 공급기업의 블록체인 설루션과 서비스를 소개하는 ‘블록체인 수요-공급기업 매칭데이’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남주 시 미래산업국장은 “블록체인 도입 과정에서 기술적,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중소기업들에게 이번 바우처 지원사업이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인천 산업 전반에 블록체인 기술이 내재화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인천시의 한 기업인은 “산업계의 IT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위변조 위험에 노출되면서 상대적으로 이 분야에 열악한 중소기업들이 취약한 상태에 놓여있다”면서 “인천시가 이러한 중소기업들의 애로사항을 해결해주기 위해 자금지원을 해주는 것은 매우 적절한 시점에 도움이 되는 큰 힘이 되는 것이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