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청사
성남시가 취약계층으로서 위기가구에 대한 안전과 효과적인 보살핌을 위해 상세주소를 부여하는 등 취약층 돌봄행정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성남시는 오는 9월까지 동·층·호가 표기되지 않은 단독·다가구주택 1423개소에 상세주소를 부여할 계획이라고 9일 밝혔다.
현재 단독·다가구주택의 경우 건물 전체에 하나의 주소만 부여되어 있어 개별 세대를 특정하기 어려웠다. 이는 건축물대장에 ‘층별·호별 구분등록’이 이루어지지 않아 주민등록 전입신고 시 개별 가구를 명확하게 등록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응급상황 발생 시 정확한 위치 파악이 어려워 구조가 지연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며, 우편·택배 등 물류 서비스 이용에도 불편이 크다. 특히 다가구주택이 밀집된 지역은 고령층 거주 비율이 높아 위기 상황에 더욱 취약해 복지 사각지대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현재까지 전체 미부여 건수 2만6988건 중 77.8%인 2만995건에 상세주소를 부여하였으며, 2027년까지 100% 부여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성남시 관계자는 “정확한 주소는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첫걸음”이라며 “이번 사업을 통해 위기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시민들의 주소 이용 편의성을 높여 보다 안전하고 체계적인 생활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성남시 시민 권기주 씨는 “점차 이웃에 대한 관심을 갖지 않는 트렌드 변화로 인해 위기가구 등 취약계층에 대한 돌봄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이어서, 이들 위기가구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직접적인 관리와 돌봄이 절실한 상황인데, 성남시가 이들 위기가구에 대한 정확한 주소를 확보하는 것은 유사시 적기 돌봄을 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