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수지 -8.2억달러…4월 경상수지 1년 만에 적자로 돌아서

-상품수지 한달 새 80.9억달러→51.1억달러…본원소득수지 33.7억달러 적자
-외국인 배당 등에 4월 경상수지 -2.9억달러로 적자 전환

이주연 기자 승인 2024.06.11 09:32 | 최종 수정 2024.06.11 09:38 의견 0
한국은행 사진=수도시민경제

상품수지 흑자폭이 감소한 가운데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배당이 늘면서 4월 우리나라 경상수지가11개월간 유지됐던 경상수지 흑자가 1년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지난 4월 경상수지는 2억9000만달러(약 3990억원) 적자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작년 5월 이후 올해 3월까지 열한 달째 이어진 흑자 행렬이 멈췄다.

하지만 1∼4월 누적 경상수지는 165억5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73억3000만달러)과 비교해 238억8000만달러 개선됐다.

4월 경상수지를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51억1000만달러)가 작년 4월 이후 13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다만 상품수지 흑자 규모는 3월(80억900만달러)보다 30억달러 가까이 줄었다.

자료, 한국은행

수출(581억7000만달러)은 작년 4월보다 18.0% 많았다. 앞서 지난해 10월 1년 2개월 만에 전년 동월 대비 반등한 뒤 일곱 달째 증가세가 이어졌다.

품목 중에서는 반도체(54.5%)·석유제품(18.7%)·정보통신기기(16.7%)·승용차(11.4%)가 늘었고, 지역별로는 동남아(26.1%), 미국(24.3%) 등으로의 수출이 호조를 보였다. 반대로 철강 제품(-4.9%) 등은 뒷걸음쳤다.

수입(530억6천만달러)도 1년 전보다 9% 증가했다. 석유제품(23.3%)·가스(21.9%)·원유(17.8%) 등 원자재 수입이 5.5% 늘었고 반도체(20.2%)·정보통신기기(11.8%) 중심으로 자본재 수입도 3.7% 증가했다. 가전제품(26.3%)을 비롯한 소비재 수입 증가율도 8.4%에 이르렀다.

상품수지와 달리 서비스수지는 16억6000만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적자 규모는 1년 전(-11억7000만달러)과 비교해 커졌지만 3월(-24억3000만달러)보다는 줄었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특히 여행수지가 8억2000만달러 적자였다. 동남아·중국 관광객을 중심으로 여행 수입이 증가하면서 적자 폭은 3월(-10억7000만달러)보다 다소 축소됐다.

지적재산권수지 적자도 한 달 사이 8억달러에서 3억1천만달러로 줄었다. 특허권 사용료 수입은 늘고 지급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본원소득수지는 3월 18억3000만달러 흑자에서 4월 33억7000만달러 적자로 돌아섰다. 주로 4월에 국내 기업이 외국인에게 대규모 배당금을 지급하는 계절적 요인 탓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4월 중 66억달러 줄었다. 경상수지와 마찬가지로 1년 만의 감소다.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39억3000만달러, 외국인의 국내 투자가 23억6000만달러 각각 증가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주식을 중심으로 35억1000만달러 늘었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도 채권 위주로 56억2000만달러 확대됐다.

은행권의 한 전문가는 "외국인 배당은 일시적이지만 무엇보다 상품수지 흑자폭의 감소 추세가 심각한 상황인데, 여기에 서비스 지수에서 여행수지의 적자 규모는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 앞으로의 경상수지 관리에 비상이 걸릴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주연 기자

저작권자 ⓒ 수도시민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