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미국 트럼프 관세폭탄으로 인한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철강, 알루미늄 등 분야에서 어려움을 겪고있는 도내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900개 중소기업을 선정해 기업당 최대 500~1500만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사진은 지난 2월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주)예선테크에서 열린 수출중소기업 간담회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는 장면. 사진= 경기도

경기도가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폭탄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기도 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최대 5000만원까지 지원에 나서면서, 해당 중소기업들의 호응이 이어지고 있다.

경기도는 트럼프 2기 보호무역 강화에 따른 수출위기에 빠진 도내 중소기업을 위한 ‘무역 위기 대응 패키지 지원사업’을 추진하기로 하고, 약 70억원의 예산을 마련해 900개 중소기업에 나선다고 13일 밝혔다.

특히 미국 관세로 인한 피해가 큰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철강, 알루미늄 등 대미 수출 핵심 품목을 중심으로 지원대상 기업을 선정하며, 1단계 위기대응으로는 시장조사 및 수출컨설팅, 2단계 위기전환으로는 해외 전시회 개별·단체 참가 및 해외 마케팅 대행, 3단계 위기극복으로는 해외규격 인증 및 수출 물류비를 지원한다.

각 단계별 기업당 최대 500만 원에서 1500만 원까지 지원금이 지급되며, 개별 기업이 최대로 지원받을 수 있는 금액은 5000만 원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경기도는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로 인한 수출 급감 우려를 최소화하고, 수출 판로를 다변화하며 도내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기존 수출지원 사업과 다르게 수출액 3000만 달러 이하 중소기업을 중점 지원해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도록 설계했다.

박근균 경기도 국제협력국장은 “이번 지원사업은 대외 무역환경 변화에 가장 취약한 중소기업들을 실질적으로 돕기 위해 준비한 것”이라며 “기업당 최대 5천만 원이라는 대규모 지원을 통해 기업의 피해를 줄이고, 더 나아가 경쟁력을 회복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경기도의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자동차부품의 경우 이미 관세로 인한 피해가 시작돼, 수출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면서 “이번 경기도의 도움이 전체적인 어려움을 해결해주지는 않지만 여러가지 해결을 위한 시도를 할 수 있는 힘은 충분히 된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