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가 경기도 주관 '사회혁신형 스마트팜 구축'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돼, 처인구 양지면 폐기숙사에 11억원을 들여 스파트팜을 조성하게 됐다. 사진=용인시

첨단 반도체 허브도시 용인특례시가 ‘사회혁신형 스마트팜 구축’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돼, 스마트 첨단도시에 이어 스마트팜 도시로의 명성까지 얻게 됐다.

용인시는 3일 경기도가 주관하는 ‘사회혁신형 스마트팜 구축’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사회혁신형 스마트팜 구축사업’은 도심 내 유휴공간 등을 활용해 스마트팜(식물공장)을 조성,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과 사회공헌 프로그램 진행 등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사업이다.

용인시는 총사업비 11억원(도비 4억 9500만원·시비 4억 9500만원·사업자 자부담 1억 1000만원)을 들여 처인구 양지면에 있는 가방공장의 폐기숙사 2층 건물(1186㎡ 규모)을 스마트팜과 지역주민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으로 조성한다.

스마트팜은 실내에서 인공환경을 만들어 식물의 생육을 위한 빛과 온도, 습도 등의 환경을 제어해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연중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스마트팜을 실제 운영하는 농업회사법인 원에이커팜은 샐러드 요리에 필요한 채소와 허브, 식용꽃 등을 재배할 예정이다.

원에이커팜 측은 농업을 통한 기업의 이윤추구뿐만 아니라 사업의 취지에 걸맞은 활동도 병행한다. 근로자와 지역민을 위한 카페와 팜마켓, 교육장을 마련해 청년 대상 스마트팜, 식품 창업 프로그램을 운영해 청년 일자리를 제공한다.

또 지역의 노인복지관과 함께 노인 강사 체험 텃밭, 스마트팜 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 사회공헌 활동을 펼친다.

이상일 시장은 “유휴부지로 방치된 공간을 스마트팜으로 조성해 첨단기술 바탕의 농업의 미래를 제시하고, 사회공헌 활동까지 할 수 있는 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관심을 두고 지원할 것”이라며 “용인에 마련된 스마트팜이 다양한 사회적경제 조직과 협력해 사회취약계층의 자립 기회를 제공하고, 농업과 지역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용인시의 한 시민은 “용인시는 이미 대한민국 반도체의 허브로서 발전하고 있는데, 미래 식량대란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스마트팜 분야에서 앞서가는 것은 용인시가 자생적인 기능을 갖춰가는 것으로 봐야 할 것 같다”면서 “유럽 여러나라나 일본의 경우 스마트팜을 통해 식량자급도를 높이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그런 시대가 온 것 같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