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입북동 일대에 들어설 예정인 '수원 R&D 사이언스파크'의 조감도. 사진=수원시

지난 11일 국토교통부가 수원시 입북동 일대 35만2600㎡ 부지에 대한 개발제한구역 규제를 일부해제하면서 그동안 추진해왔던 ‘수원 R&D 사이언스파크’ 조성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수원시가 그동안 권선구 입북동 484번지 일원에서 추진해온 ‘수원 R&D 사이언스파크’는 R&D(연구&개발), ICT(정보통신), 반도체, BT(생명공학), NT(나노기술) 기업 등 첨단연구기업을 유치해 일자리 4000여 개를 창출하는 사업으로, 올해 안에 실시계획 인가를 마치고 2027년 상반기 착공해 2028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수원 R&D 사이언스파크에는 연구개발 업무시설뿐 아니라 연구원·종사자 등을 위한 공공주택, 근린생활시설, 근린공원 등 공공시설이 들어선다.

교통여건도 양호한 편으로, 국철 1호선 성균관대역과 1.2㎞, 신분당선 광교~호매실 연장선에 들어설 구운역과 1.4㎞ 거리다. 평택파주고속도로 당수 나들목, 금곡 나들목과 차로 5분 거리다.

수원시는 수원 R&D 사이언스파크, 탑동 이노베이션밸리, 북수원테크노밸리, 우만테크노밸리, 델타플렉스 등 거점을 연결해 수원을 고리 형태로 둘러싸는 ‘환상형(環狀形) 첨단과학 혁신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재준 수원시장은 “수원 R&D 사이언스파크는 서수원의 혁신을 이끌고, 수원시를 넘어 경기 남부의 새로운 성장 거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수원 R&D 사이언스 파크 조성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수원을 첨단과학연구도시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수원시의 한 시민은 “수원시가 인근의 용인시, 성남시, 화성시 등의 첨단산업 및 대규모 연구단지가 들어서는 것에 비해 다소 미래형 산업기반이 열악한 것으로 보였는데, 이러한 R&D 사이언스파크같은 첨단 연구시설이 들어서면, 도시의 위상이 많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미래형 첨단기술 기업들이 많이 들어와야 젊은층의 유입이 늘어면서 수원시가 더욱 젊어질 것이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