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동 문화창작지대에서 개최된 '2025년 인천청년정책네트워크 발대식' 장면. 사진=인천시

청년들이 자발적으로 행정에 참여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고자 마련한 청년 중심 행정시스템 등 인천광역시의 노력이 결실을 맺으면서 인천시에 청년 중심 문화가 정착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인천시는 이러 노력의 일환으로 청년정책 발굴과 소통창구인 청년정책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지난 21일 미추홀구 주안동 문화창작지대에서 ‘2025년 인천청년정책네트워크 발대식’을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인천청년정책네트워크’는 청년들이 직접 정책을 제안하고 모니터링하며, 캠페인 활동 등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에 참여할 수 있도록 마련된 청년 참여기구다.

올해는 1월 23일부터 2월 21일까지 공개모집을 통해 인천에 거주하거나 활동하는 18~39세 청년 109명을 위원으로 선발했다. 공식 임기는 12월 31일까지이며, ▲취업·창업 ▲주거·복지 ▲문화·예술 ▲참여·권리 ▲기후·환경 등 5개 분과로 운영된다. 또한, 청년의 날 행사 참여 등 다양한 청년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부터는 수료제를 도입해 청년들의 참여를 더욱 활성화하고 성취감을 부여함으로써 지속적인 정책 참여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유정복 시장은 “청년이 행복한 도시 인천을 만드는 데 함께해 주신 청년들에게 감사드리며, 청년들의 의미 있는 정책 제안을 기대한다”라며 “청년들의 목소리를 제대로 듣고 실질적인 정책을 펼쳐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거주 한 청년은 “취업, 창업, 연금, 결혼 등등 사회적으로 많은 이슈들이 청년들에게는 불리한 측면이 많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면서 “청년들에게 당면한 각종 문제와 애로사항 들을 청년들이 직접 발굴하고 해결책을 내놓는 인천형 청년정책네트워크 활성화는 매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며 결과에 큰 기대가 된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