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2025년 수원시민 인권 인식 조사' 결과. 사진=수원시

경기도 수원시의 인권 관련 정책이 시민들로부터 높은 점수를 받은 가운데, 시민들이 가장 차별을 당한 경우를 나이, 직업, 비정규직, 학벌, 성별 등 순서로 나타나 고령화에 따른 나이차별 문제 해결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수원시가 지난 7월 21일부터 8월 4일까지 시민 508명(온라인 패널)을 대상으로 한 ‘2025년 수원시민 인권 인식 조사’ 결과 인권침해나 차별을 당한 이유로 나이가 53.7%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직업이나 소득 등’(46.9%), ‘비정규직’(46.5%), ‘학력·학벌’(45.5%), ‘성별’(40.9%)이 뒤를 이었다.

일반적으로 성 차별이 높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순위가 5번째로 성평등 문화가 비교적 정착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침해를 경험했을 때 대응은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았다’(40.5%)가 가장 많았고, ‘주변 사람에게 도움 요청’은 33.5%였다. 가해자에게 직접 시정 요구한다는 응답자 비율은 20.5%였다.

수원시 인권 정책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 평가가 우세했다. ‘수원시 인권 정책이 시민 인권 증진에 기여한다’는 40.6%가 긍정했고, 부정은 8.9%였다. ‘수원시가 ‘인권친화적인 도시’라고 생각한다’는 긍정 45.3%, 부정 7.9%였고, ‘수원시가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 참여 기회를 제공한다’는 긍정 40.9%, 부정 12.6%였다.

응답자들은 수원시 인권 정책에서 성과가 있는 분야로 아동·청소년 정책(18.9%), 노인 정책(18.5%)을 꼽았다. 여성 정책(5.9%), 장애인 정책(6.1%)을 선택한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수원시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시민 인권실태조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시민 생활 전반의 인권 상황을 면밀하게 진단하고, 정책에 반영할 예정이다.

수원시 관계자는 “시민 다수가 수원시 인권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앞으로도 인권친화도시의 위상을 강화해 전국 기초지자체를 선도하는 모범 모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수원시의 한 시민은 “과거에는 사회적 차별은 당연히 성차별이 1위였고 이번 조사결과도 그럴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의외로 나이차별이 1위이고 다음이 직업 차별이라고 하니 이는 고령화로 인한 사회구조의 변화와 경기 둔화로 인해 취업이 어려워진 것이 반영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