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가 지난 5일 '2025년 제3회 시군구 및 유관기관 건축정책 업무연찬'을 열고 인천 도시브랜드 및 공동 비전 수립을 논의했다. 사진=인천시

오는 8일부터 5일간 열리는 인천아시아건축사대회와 10일부터 3일간 열리는 인천건축문화제를 앞두고 인천광역시가 지난 5일 ‘2025년 제3회 시·군·구 및 유관기관 건축 정책 업무연찬’을 열어 높은 관심을 모았다.

이번 행사에는 인천시 건축과·주택정책과·주거정비과·경제자유구역청 도시건축과·종합건설본부 건축부를 비롯해 각 군·구 건축·주택·도시정비 담당 부서장과 건축·건설 관련 협회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최신 정책 현안과 실행 방안을 공유하고, 현장에서의 애로사항과 협력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인천광역시 건축 조례 개정 ▲집합건물 관리지원단 운영 확대 ▲생활숙박시설 복도폭 기준 완화에 따른 합법화 유도 ▲지역주택조합 이행실태 점검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주택관리업자 선정 시 지역업체 우선 고려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계획 수립 등 9개 주요 안건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특히 오는 9월 8일부터 12일까지 개최되는 제21차 인천아시아건축사대회와 9월 10일부터 12일까지 열리는 제27회 인천건축문화제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민·관 협력 방안이 논의되었으며, 인천의 도시 브랜드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동 비전도 제시됐다.

이지연 시 건축과장은 “이번 연찬은 시·군·구와 유관기관이 모두 참여해 정책 공감대를 형성하고 협력 체계를 강화한 뜻깊은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채널을 통해 소통과 협력을 확대하여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건축정책을 지속 발굴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인천시의 한 건축 전문가는 “도시는 건축으로 표현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에 다양한 요소들을 녹여 통일된 아이덴티티 속에 다양성을 담아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소통과 협의가 필요하다”면서 “일련의 건축 관련 행사들을 통해 인천을 대표하면서 시민들이 행복을 느낄 수 있는 큰 흐름이 정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