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영인 SPC그룹 회장. 사진=SPC

작업자들의 잇단 사망사고 발생과 대국민 사과를 반복하는 가운데, SPC그룹의 종업원 사망사고가 끊이지 않아 근본적인 정부의 규제가 있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 19일 경기도 시흥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오전 3시경 시흥시 소재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50대 여성이 작업 중 컨베이어 벨트에 상반신이 끼어 사망했다.

이 여성은 뜨거운 빵을 식히는 작업 과정에서 제품이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데 벨트가 잘 돌아가도록 윤활유를 뿌리는 작업을 하다가 기계에 상체가 끼어 두개골 손상으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때에 다라서 컨베이어 벨트 깊숙이 몸을 넣어 윤활작업을 하는 경우 위험하기 때문에, 과연 컨베이어벨트 작동 중에 윤활작업을 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안전규정이 있는 지를 따져봐야 하고, 만일 안전수칙 위반이 발견될 경우에는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 외에 업무상과실치상 혐의도 추가될 수 있다.

문제는 그동안 SPC그룹 공장에서 사망사고를 비롯한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는 SPC측과, 정부의 느슨한 규제를 지적할 수 밖에 없다.

지난 2022년 10월에는 SPC의 계열사인 SPL 평택 공장에서 20대 여성 노동자가 소스를 섞는 기계에 빨려 들어가 목숨을 잃었는데, 다음 날에는 기계를 흰 천으로 가려둔 채 공장을 가동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국민적 공분을 일으킨 바 있었다.

당시 '노동자의 피 묻은 빵은 먹지 않겠다'는 불매 운동이 이어졌고, 결국, 허영인 SPC그룹 회장이 대국민 사과를 하기도 했다.

그 사건이 일어난 지 며칠 지나지 않아 샤니 성남공장에서도 40대 남성 노동자가 손가락이 기계에 끼여 절단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2023년 8월에는 50대 여성 노동자가 샤니 성남공장에서 빵 반죽 기계에 끼여 숨지는 사고가 터졌다.

이 외에도 여러 공장에서 다수의 작업자들이 다치는 사고가 잇따른 상황에서 이번 작업자 사망사고는 SPC그룹의 안전불감증은 물론 인명경시의 풍조를 보여주는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산업계에서는 빈번한 사망사고 원인으로 정부가 만들어놓은 중대재해처벌법의 느슨한 솜방망이 처벌을 원인으로 들기도 한다.

지난 2022년의 SPC 계열사인 SPL 사망사고에 대해서도 강동석 전 SPL 대표는 사건 27개월 만인 지난 1월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 1심 재판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 받았다.

한편, SPC그룹에 유독 사망사고 등 안전사고가 많은 이유로 원칙을 무시하는 그룹의 모럴해저드를 원인으로 꼽는 견해가 나오고 있다.

허영인 회장은 파리바게트 제빵 기사들에게 민주노총 탈퇴를 강요한 혐의로 현재 재판 중이다.

허 회장은 2024년 4월 5일 민주노총 소속 근로자들의 노조탈퇴 지시의 배후로 지목돼 구속됐었다. 구속 5개월 만에 구속기간 만료로 보석이 허가돼 같은 해 9월 풀려났지만 현재 재판이 진행 중이다.

구체적으로 2021년 2월부터 2022년 7월까지 SPC 자회사인 피비파트너즈 내 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 파리바게뜨지회 조합원 570명에게 노조 탈퇴를 종용한 혐의다.

이 외에도 SPC는 고위 임원이 검찰 수사관을 매수해 수사정보를 빼낸 혐의로 실형을 받기도 했다.

올해 2월에는 SPC의 백 모 전무가 검찰 수사관에게 뇌물을 쓰고 SPC와 허영인 회장에 대한 수사정보를 캐낸 혐의로 진행된 항소심에서 1심과 같은 징역 1년6개월의 실형을 받았다.

뇌물을 받고 수사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 수사관 김 모 씨는 징역 3년에 벌금 1500만원 추징금 443만원을 선고 받았다.

김 수사관은 2020년 9월부터 2023년 5월까지 백 전무로부터 600만 원 상당의 금품과 향응을 받고 허 회장과 황재복 SPC 대표의 '주식 저가 양도 배임 사건' 등 관련 수사정보를 60여 차례 건넨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허 회장은 최근 대법원에서 계열사 주식을 저가로 매각해 증여세를 회피했다는 혐의로 기소됐던 사건과 관련해 최종 무죄 판결을 받았다.

현재 ‘노조 파괴’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허영인 회장은 지난 4월 30일 44차 공판에서 허 회장 측 변호인이 법정에 나온 증인과 별도로 접촉한 것이 발각돼 허 회장에 대한 ‘보석 허가’ 조건 중 하나인 증거인멸을 시도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한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도 이번 사망사고를 낸 SPC그룹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 후보는 2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목숨을 걸고 일터로 가는 세상을 더는 방치해서는 안 된다"면서 "정부는 엄정하고 신속한 수사에 나서서 반복된 산재 사고의 구조적 원인을 명백히 규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산업계 관계자는 “지난 2022년 10월 평택 SPL 제빵공장에서 23살의 젊은 작업자가 작업 중 사망했는데 SPC가 빈소에 파리바게뜨의 땅콩크림빵과 단팥빵을 답례품으로 갖다 놓은 적이 있었다. 그 빵을 만들다 죽은 작업자의 빈소에 그 빵을 갖다 놓는 어처구니 없는 SPC의 처신으로 많은 작업자들의 분노를 샀었다”면서 “SPC그룹의 총체적인 안전불감증과 모럴해저드는 그룹의 총수인 허 회장의 잘못된 기업관과 인명경시 의식에서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기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