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가 26일과 27일 양일에 걸쳐 백령 생태관광체험센터와 백령.대청 지질공원센터 착공식을 개최했다. 사진=인천시
인천광역시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추진에 발맞춰 백령도와 대청도 등 관광자원 활성화를 위한 시설 착공에 들어가면서 향후 이들 섬들에 대한 관광수요 증가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인천시는 3월 26일과 27일, 이틀 간 백령 생태관광체험센터와 백령‧대청 지질공원센터 착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착공식에는 문경복 옹진군수를 비롯해 이동우 인천시 해양항공국장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26일에는 백령도에서 백령 생태관광체험센터 착공식이 열렸다. 행사에서는 경과보고, 기념사, 시삽식 등이 진행됐으며, 행사 이후 참석자들은 대청도로 이동했다. 27일에는 백령‧대청 지질공원센터 착공식이 개최돼 본격적인 사업 추진이 시작되었다.
인천시는 백령‧대청 지역의 지질학적, 생태학적, 문화적 자원을 보전하고, 지역경제 활성화 및 관광객 유치를 촉진하기 위해 2026년까지 지질공원센터와 생태관광체험센터를 설립할 계획이다.
백령‧대청 지질공원센터는 2026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추진에 발맞춰 지질, 생태, 문화, 역사 등 관광자원을 총괄하는 거점시설로 조성된다. 특히, 서해 최북단에 위치한 대청도의 특성을 반영해 지질관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관광객을 유치하는 등 지질관광 거점센터로 활용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주민들에게 문화 및 여가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대청도 ‘백평·대청지질공원센터’는 연면적 648㎡, 2층 규모로 사업비는 총 50억원이 소요된다. 이 곳은 멸종위기인 점박이물법의 서식지로서 이번 생태기반시설을 구축해 생태교육, 체험, 연구 거점 기능을 하게된다.
백령도 ‘백령 생태관광체험센터’는 전망대를 포함한 복합 생태체험 시설로서 총 90억원이 소요된다.
이동우 시 해양항공국장은 “백령‧대청 지역은 지질학적, 생태학적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잠재력이 큰 지역”이라며 “백령‧대청 국가지질공원센터와 백령 생태관광체험센터 착공을 통해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지속 가능한 관광 인프라를 구축해 지역경제와 관광산업을 활성화하는 세계적인 명소로 발전시키겠다”라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