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국정감사 행정안전위원회의 대구광역시 국감장 모습. 사진=연합뉴스

미분양의 무덤으로 불리는 대구시에 대한 구체적인 미분양 이유가 나와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가운데, 가장 큰 원인은 역시 공급초과로 인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미분양 등 주택시장 불황이 건설업계는 물론이고 관련 산업에까지 악영향을 미쳐 지방 경기 위축의 큰 발원지로서 주택정책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됐다.

27일 행정안전위원회 대구 국정감사 일정 속에 행안위 소속 더불어민주당의 이상식 의원(경기 용인갑)은 “대구시는 2020년 이후 다수의 정비 사업이 동시다발적으로 추진되어 수만 가구에 달하는 신규 아파트 공급 물량으로 이어졌다”면서 이러한 대규모 개발은 단기간 입주 물량의 폭증을 가져와 공급 과잉을 초래했고, 이는 악성미분양과 지역 부동산시장의 위기를 초래했다”고 밝혔다.

이 의원실이 대구시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구시의 아파트 입주물량은 2021년 1만6259호, 2022년 1만9346호, 2023년 3만3103호, 2024년 2만4921호로 증가했고 2025년 들어서는 현재까지 1만2832로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주택 인·허가 물량 추이 역시 과잉현상을 보였다. 2021년 2만2767호, 2022 년 2만5544호로 폭증하다가 2023년 1만3962호, 2024년 2996호 2025년 8월 기준 2273호로 급격하게 줄었다.

2023년부터 당시 홍준표 시장이 대구지역 미분양 상황이 심각해지자 의도적으로 인허가를 자제하면서 인허가 물량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실제 미분양 현황은 2021년 1977호(입주예정물량 대비 미분양율 12.2%)에서 2022년 1만3445호 (69.5%), 2023년 1만245호(30.9%), 2024년 8807호(35.3%), 2025년 8월 기준 8762호(68.3%) 로 나타났다.

2025년 8월 미분양 물량은 경기도(1만513호) 다음이지만, 인구수를 고려하면 사실상 가장 많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대구시의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해마다 하락하고 있다. 2021 년 126.7에서 2025년 8월 기준 96.7까지 크게 떨어졌다.

부동산 시장의 불황은 결국 건설업 및 부동산중개업 등 관련 업종의 매출 급감으로까지 이어졌다. 건설업은 2023년 이후 건설수주가 크게 감소하기 시작해 올해의 경우 1분기 24.3% 큰 폭 하락을 했다.

공인중개사무소의 개업수도 꾸준히 감소해 2021년 725개소에서 2024년 474개소로 35% 떨어졌다. 개업 대비 휴폐업 비율은 2021년 84.6% 에서 2024년 176.4%까지 급증해, 사실상 중개업 시장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식 의원은 “인구감소 및 지역경제 침체 등 지역 특수성을 고려하여 미분양 사태를 사전에 예측하고 공급물량을 조정하기 위한 노력을 했어야 했던 것 아닌가” 라고 질문하며, “시 정부는 악성 미분양 해소와 건설업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비상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고 주문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대구시는 이미 2~3년 전부터 미분양의 무덤이 돼 분양시장은 물론이고 거래시장도 완전히 불안한 시장이 됐는데, 이는 2020년까지 주택공급이 저조하면서 집값이 다소 오르기 시작하자 인허가 폭증과 함께 공급이 급작스럽게 늘어나면서 이런 현상이 일어났다”면서 “대구는 이상하게 공급이 폭증했다가 급감했다 가를 반복하면서 시장이 이상하게 왜곡되고 있어서 정책적으로 관리를 잘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주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