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2025 GH 공간복지 청년 공모전'을 열고 시상식을 가졌다. 사진=GH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청년들의 참신한 상상력을 실현시키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GH 공간복지 청년 공모전’이 올해 3회째를 맞이해 수원 광교에서 시상식과 함께 열려 관심을 모았다.

27일 GH 수원 광교 본사에서 열린 ‘2025 GH 공간복지 청년 공모전’은 ‘하이퍼로컬 시대의 공동주택 x 공간복지’를 주제로 열렸다. 하이퍼로컬(Hyper Local)은 생활 편의와 문화가 동네 단위 안에서 이뤄지는 소규모 거주문화를 의미하며, 도시 주거 트렌드의 미래로 주목맏고 있다.

GH는 이를 토대로 노후 공동주택의 통합 개발과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청년들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기회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일반 부문에는 전국 대학(원)생과 졸업생들이 총 116건의 작품을 출품했으며, 외부 전문가들의 엄격한 심사를 거쳐 대상 1팀, 금상 2팀, 은상 5팀, 장려상 10팀 등 최종 18팀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대상에는 박예은·진세한 팀의 ‘삶의 틈에서 피어난 태평, 겹쳐 흐르는 풍요로운 일상 쌓아올리기’가 선정됐다. 이 작품은 오래된 공동주택을 주민 교류와 생활정원이 어우러진 공간으로 재구성해 낡은 주거지를 활력 있는 생활 공동체로 바꿀 수 있는 상상력을 담아 호평을 받았다.

스튜디오 연계 부문에서는 건국대, 고려대, 숭실대, 아주대, 한양대 등 10개 대학이 한 학기 동안 프로젝트로 참여해 성과물을 제출했으며, 이날 수료증이 수여됐다.

GH는 9월 9일까지 GH 본사 3층 라운지에서 일반 부문 8점과 스튜디오 연계 부문 35점 등 총 43점을 전시한다.

이종선 GH 사장 직무대행은 “청년들의 기발한 상상력은 GH가 추진하는 공공주택과 도시공간 속에 새로운 변화의 씨앗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청년들과 함께 공간복지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고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