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2023~2024년 2년 간 유통식품 7477건에 대해 방사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모두 안전한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사진=경기도
경기도가 도민 안심먹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지난 2년 간 유통식품 7477건을 대상으로 실시한 방사능 검사에서 모두 기준치 이내로 확인돼 도민들의 먹거리 우려를 덜어줬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2023년부터 2024년까지 도내 유통 식품 7477건을 대상으로 방사능 검사를 한 결과, 모두 기준치 이내로 확인됐다고 22일 밝혔다.
검사 대상은 ▲수산물 5851건(고등어, 삼치, 오징어 등) ▲농산물 1135건(사과, 오이, 감귤, 배, 포도 등) ▲가공식품 491건(소스, 천일염, 과자, 카레 등) 등이다. 수산물이 전체의 78%를 차지해 주요 품목으로 집중 관리됐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이후 유통 수산물 검사는 2022년 1563건에서 2024년 3481건으로 2.2배 늘어나며 강화됐다.
한편, ‘경기도 급식시설 방사성물질 차단에 관한 조례’에 따라 급식 식재료 방사능 검사는 2022년 1719건에서 2024년 2676건으로 1.5배 증가했으며, 2023년부터는 6개 어린이집 납품 수산물도 포함시켜 총 794건을 점검했다.
도영숙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농수산물검사부장은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감마핵종분석기 7대, 알파핵종분석기 1대, 액체섬광계수기 1대를 보유하고 있어, 정밀한 검사를 바탕으로 도민이 안심할 수 있는 방사능검사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경기도의 한 주민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함께 중국 동안의 원자력발전소와 북한 원자력 물질 방출 등 먹거리 걱정이 큰 것이 사실이다”면서 “경기도가 지속적으로 방사능 오염 조사를 실시해 먹거리 오염을 지켜주고, 도민 건강을 계속 지켜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