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생활물가로 인해 내수가 줄면서 성장률도 끌어내리고 있다. 사진은 내수 진작을 위해 흰 우유 값을 동결하기로 했지만 썰렁한 대형마트 분위기를 보여주고 있다. 사진=수도시민경제
우리나라 경기 회복과 관련 내수 부진이 발목을 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가 부진하면서6월 생산역시 소폭 줄면서 두 달째 감소했다.
소매판매와 설비투자는 모두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낮은 수준을 기록하는 등 내수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全)산업 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3.1(2020년=100)로 전월보다 0.1% 감소했고 특히 5월 -0.8%에 이어 두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분기별로는 2분기에 전 분기 대비 0.3% 감소해 2022년 4분기(-0.7%) 이후 6개 분기 만에 줄었다.
부문별로 보면 공공행정에서 지난달 5.1% 감소하며 전산업 생산 지수를 끌어내렸다.
반면 광공업은 월 기준으로 제조업(0.6%)에서 늘며 0.5% 증가했다. 특히 반도체가 8.1% 늘어 두 달 연속 증가했다. 증가 폭은 작년 11월(9.8%) 이후 최대다. 반도체 지수(163.4) 수준은 역대 가장 높았다. 서비스업 생산도 0.2% 증가했다.
금융·보험(1.8%), 부동산(2.4%) 등에서 늘고 예술·스포츠·여가(-5.0%), 숙박 및 음식점업(-0.2%) 등에서 줄었다.
6월 재화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 판매는 1.0% 늘어 석 달 만에 반등했지만 작년 동월 대비로는 3.6% 줄어 넉 달째 감소세가 지속됐다.
분기로 보면 2분기 소매판매는 작년보다 2.9% 감소했다. 이는 2009년 1분기(-4.5%) 이후 최대 폭 감소다.
설비투자는 4.3% 늘었다. 5월에 3.6% 감소한 지 한 달 만의 반등이다. 특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에서 투자가 6.5% 늘었다. 반면 자동차 등 운송장비에서는 2.8% 감소했다.
다만 작년 같은 달에 비해서는 2.7% 감소해 연간 추세는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건설기성(불변)은 0.3% 줄며 두 달째 감소했다. 토목(6.1%)에서 공사실적이 늘었지만, 건축(-2.3%)에서 줄었다.
향후 건설 경기를 예고하는 건설수주는 1년 전보다 철도·궤도 등 토목(61.7%)과 공장·창고 등 건축(8.2%) 등에서 늘며 25.9% 증가했다.
2분기 건설수주도 작년 같은 시기보다 15.5% 늘며 회복 조짐을 나타냈다.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7로 전월보다 0.1포인트(p) 낮아져 넉 달째 하락했다.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0.8로 0.2p 상승했다.
내수 부진 여파로 한국 경제는 지난 2분기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다. 1분기(1.3%) '깜짝 성장'에 따른 기저효과에 내수마저 살아나지 못하면서 역성장이 불가피했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올해 수출 호조세에 힘입어 연간 성장률 목표치인 2.6%는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보고있지만, 내수 부진이 지속될 경우 경제성장률에도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31일 한국은행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자료에 따르면 GDP는 전분기 대비 0.2% 감소했다. 한국 경제가 전분기 대비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한 것은 지난 2022년 4분기(-0.3%) 이후 1년 6개월 만이다.
민간 소비가 0.2% 감소했다. 승용차·의류 등 재화 소비 부진으로 0.2% 감소했고, 설비투자도 반도체 제조용장비 등 기계류 중심으로 2.1% 줄었다. 건설투자도 1.1% 감소했다.
다만 정부가 믿고있는 수출은 자동차와 화학제품을 중심으로 전기 대비 0.9% 늘었다. 수입은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1.2% 늘어나 수출 증가세를 압도했다. 정부소비는 물건비를 중심으로 0.7% 늘어났다.
기획재정부 이승한 종합정책과장은 하반기에는 민간소비와 함께 건설·설비투자 부문이 개선될 것이으로 봤다. 그는 "내수 제약 요인이 완화될 조짐이 보이고 있고, 도입이 지연됐던 항공기와 반도체 장비 등이 3분기에 들어와 반영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하반기 내수 살리기를 위해 공공부문 15조원 추가 투·융자 등 건설투자 보강과제를 추진하고, 건설업 고용지원 방안을 다음달 중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산업계 관계자는 “문제는 내수인데 물가상승에 비해 실질소득이 줄어들다보니 국민들이 지값을 닫고있는 것이 산업 전반에 아영향을 끼치고 있다”면서 “내수 절벽으로 인해 일본이 침체의 늪을 헤어나지 못하는 것을 보면, 내수 활성화를 위한 특별한 대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지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