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가 화학사고 대피장소를 기존 19개에서 이번에 40곳을 늘려 총 59개를 운영하게 됐다. 이번 40개 중에 24곳은 안내판을 설치했다. 사진=용인시
용인특례시가 근래 들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화학사고로부터 시민을 지키기 위한 대패소를 추가로 설치하면서 시민 안전지킴이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용인시는 지역 내 화학사고 대피장소를 40개소 추가로 설치해 총 59개로 늘렸다고 2일 밝혔다. 이번에 늘린 40개 대피소 가운데 23개소는 이미 안내표지판을 설치했다.
시는 지역내 24개 행정복지센터와 15곳의 학교, 용인시청소년수련원 등 총 40곳을 새롭게 대피장소로 지정했다. 추가 지정에 따라 지역내 화학사고 대피장소는 지난해 19개소에서 올해 59개소로 크게 확대됐다.
시는 대피장소 수용인원을 확대하기 위해 지역내 체육관을 비롯한 대규모 수용시설과 지역의 초·중·고등학교 등 대피하기 용인한 시설을 중심으로 추가 지정을 검토할 방침이다.
이상일 시장은 “화학사고가 발생할 경우 주민이 신속하게 대피시설로 이동할 수 있도록 대피장소를 추가로 확보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것”이라며 “안내표지판 설치를 통해 시민이 쉽게 대피장소를 알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용인시의 한 시민은 “화학물 사고의 경우 유해물질로 인한 피해규모가 큰 만큼 대피소가 절실하고, 사고지점에 대한 해독 시간이 걸리는 만큼 대피소의 역할이 중요한데 용인시가 대피소를 대폭 늘린 것은 매우 잘 한 것으로 생각된다”면서 “대피소 설치도 중요하지만, 화학사고 사전 방지 대책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와 지도가 더 필요할 것이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