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2026년부터 집수리 관련 9개 연관 사업을 한꺼번에 신청하도록 업무를 개선하기로 했다. 사진은 옥상 방수처리가 된 것. 사진=경기도
경기도가 노후주택 수리를 신청할 경우 그동안 수리 항목별로 요청하던 것을 내년부터는 9개 관련 항목에 대해 한꺼번에 신청할 수 있도록 해 도민 편의행정을 한단계 업그레이드하기로 했다.
경기도는 내년부터 집수리 관련 사업을 신청할 경우 9개 사업을 연계해 한꺼번에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계가 가능한 9개 관련 사업은 소규모 노후주택 집수리, 햇살하우징(창호, 보일러 등), G-하우징(화장실, 부엌시설 개보수 등), 장애인주택개조사업(출입문, 욕실 보수 등), 어르신 안전 하우징(안전시설보강 등), 석면슬레이트 지붕처리 사업(주택 슬레이트 해체 지원 등), 주택용 태양광(3KW)지원(태양광 설치비 일부 지원), 농어촌 주택개량 사업(주택 개량자금 융자 지원), 녹물없는 우리 집 수도관 개량지원(수도관 개량 공사비 지원) 등이다.
이 중 소규모 노후주택 집수리 지원사업은 15년 이상 된 30세대 미만 소규모 노후 공동주택과 20년 이상 된 노후 단독주택이 대상이다. 공용시설의 옥상 방수, 도장·도색, 외벽·도로 균열보수 및 소화설비 등의 낡은 시설물의 수선·교체 공사비를 최대 1천600만 원까지 지원하고, 세대 내부가 열악한 경우 내부 수리 비용으로 최대 500만 원까지 지원한다.
도는 집수리 사업간 유기적 연계를 추진하기 위해 8월 말까지 시군 또는 수행 기관 등에서 내년도 사업에 대한 수요를 조사할 계획이다.
경기도의 한 주민은 “경기도가 내년부터 9개 연관 항목을 묶어서 주택 보수 관련 민원을 통합시키는 것은 대표적인 업무혁신 사례라고 평가할 수 있다”면서 “일반적으로 공무원은 변화를 거부하고, 안일무사와 보신주의에 빠진 것으로 알려질 정도로 복지부동하는 자세였는데, 사소한 듯 보이지만 이러한 변화는 대단한 혁신이라고 칭찬할 수 있는 사항이다”고 말했다.
김한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