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우리은행그룹 회장

지난 10년 간 가장 많은 횡령사고를 일으켜 국내 은행 중 횡령사고 1위의 오명을 쓰고있는 우리은행의 임종룡 회장이 지난 8일 애널리스트들을 대상으로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발표하는 등 은행 이미지 변신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말뿐인 쇼잉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우리금융그룹은 지난 8일 여의도 우리투자증권 본사에서 국내외 증권사의 금융담당 애널리스트 26명을 초청해 '우리금융 애널리스트 데이'를 개최했다.

임종룡 회장이 직접 발표자로 나선 이 자리에서 임 회장은 △그룹 자본 활용 계획 및 M&A 전략 △새롭게 출범한 우리투자증권의 성장 로드맵 등 그룹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핵심 방안을 제시하면서 총주주환원율을 50%까지 확대하는 주주환원정책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최근 시장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우리금융이 적극 동참해 한국 자본시장 체질 개선과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에도 제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11일 금감원은 '은행 대출취급 적정성 관련 수시검사 결과(잠정)'를 통해 우리은행의 부당대출 사실을 포착했다고 밝혀, 우리은행 임 회장의 밸류업 프로그램 노력이 헛말임이 드러났다.

기업 밸류업은 외형적인 주주환원에 앞서 투명한 은행경영을 통한 지속성장성을 높이는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은행은 지난 2020년 4월 3일부터 올해 1월 16일 기간 중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친인척 관련 차주를 대상으로 616억원(42건)의 대출을 실행했다.

특히 임종룡 현 우리금융 회장이 취임한 지난해 3월 이후에도 기존 대출은 만기연장 되면서 계속 유지됐으며, 대출자는 손 전 회장의 처남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출 건 중 28건(취급액 350억원)은 대출심사 및 사후관리 과정에서 통상의 기준·절차를 따르지 않았다. 특히 지난달 19일 기준으로 전체건 중 19건(잔액 269억원)에서 부실이 발생했거나 연체 중이다.

금감원은 손 전 회장이 지주와 은행에 지배력을 행사하기 이전에는 해당 친인척 관련 차주 대상 대출건은 5건에 불과했다고 집계했다. 4억5000만원을 취급했다가 손 전 회장이 자리한 뒤에는 취급 규모가 수백억원으로 급증했다는 것이다.

구체적인 정황을 살펴보면 차주의 사문서위조, 사기 등 혐의가 적발됐다. 차주가 허위로 의심되는 서류를 제출했음에도 우리은행의 사실 확인은 미흡했다.

금감원은 지난 2023년부터 추진해 온 '지주·은행 지배구조 제도 개선' 및 최근 지속 발생한 은행권 대출사고의 재발방지를 위해 준비 중인 '여신프로세스 개선'에 이번 검사 내용을 반영할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주회장에게 권한이 집중된 현행 체계에서 지주 및 은행의 내부통제가 정상 작동하지 않은 이번 사안을 엄중하고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다"면서 "향후 금융관련 법령 위반소지 및 대출취급 시 이해상충 여부 등에 대한 법률검토를 토대로 제재절차를 엄정하게 진행하고 검사과정에서 발견된 차주 및 관련인의 허위서류 제출 관련 문서 위조, 사기 혐의 등에 대해서는 수사기관에 통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우리은행의 무너진 도덕성은 이미 임직원의 횡령사고 국내 1위라는 오명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상태다.

지난 7월 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14~2023년 국내 은행별 횡령 사건 내역'에 따르면, 해당 기간 외국계은행과 국책은행을 포함한 17개 국내 은행 중 횡령액이 가장 큰 은행은 우리은행으로 총 772억7780만 원의 횡령이 발생했다. 지난해 595억 원에 달하는 횡령사고가 발생한 경남은행(10년 합계 총 611억8,120만 원)이 뒤를 이었다.

최근 100억 원대 금융사고를 낸 우리은행이 앞서 10년간 은행권 횡령사고 발생액과 인원수에서 1위에 오르는 등 도덕적 해이가 가장 심한 은행은행이라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우리은행은 우선 2년 전 발생한 700억 원 규모 대형 횡령사고 이후에도 고객 돈을 빼돌리는 사고는 끊이지 않아 내부통제 체계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우리은행은 횡령액만 많은 것이 아니었다. 횡령에 가담한 직원 수도 31명으로 전체 은행권에서 가장 많았다. 횡령액 2위인 경남은행에서 10년간 적발된 인원수는 5명에 불과했다.

횡령액 환수율도 압도적 '꼴찌'였다. 10년 횡령액에 대한 우리은행 환수율은 1.7%(13억1370만 원)에 그쳤다.

문제는 대형사고 이후 "내부통제 체계를 쇄신하겠다"고 공언했음에도 횡령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은행에서는 지난해 총 25억8700만 원 규모의 횡령사고 2건이 추가로 발생한 데 이어, 올해에도 대리급 직원 A씨가 100억 원 상당의 고객 대출금을 빼돌린 사실이 드러났다. 쇄신 대신 범죄자만 는 셈이다. 특히 A씨가 횡령한 금액 중 60억 원가량은 코인 투자 실패로 사실상 사라진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수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임종룡 회장이 지난해 3월 취임한 이후 실적도 내리막을 밟고 있어, 영업 측면에서도 위기를 맞고 있는 모양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우리은행의 도덕적 해이는 은행계에서도 유명하고, 외부에서 수혈하는 임원진도 역량 미달인 인물이 많아서 전문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조직 관리가 상대적으로 허술할 수 밖에 없다”면서 “특히 주로 경제관료 생활을 하다가 대선 캠프에서 일했다는 것만 가지고 회장 자리에 올라있는 임종룡 회장의 리더십이 조직원들에게 전파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주연